네이버 언론장악, ‘네이버 규제법’ 나오나

포털 공룡 네이버가 주요 언론사들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인다. 특히 지난 5월 네이버 검색 제휴에서 제외된 아시아투데이는 지난달 30일 ‘네이버 저격수’를 자처하며 호소문 형태의 광고를 싣기도 했다. 그동안 언론권력이다, 독점이다 하며 시끄럽게 떠들어대던 네이버 독식 문제가, 조·중·동·매 등 메이저 언론과 정치권에서 직접 거론하기 시작하며 점점 판이 커지는 모양새다.

 

언론 옥죄는 포털 공룡 ‘네이버’

포털 사이트 국내 70% 점유율을 자랑하는 네이버의 불공정 행위에 관한 기사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일반 인터넷 언론사는 물론 메이저급 언론사까지 합심해 네이버를 공격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동안 부동산 등 독점 논란으로 몸살을 앓고 있던 네이버가 이번엔 제대로 집중 포격을 맞고 있다.

우선 먼저 도마 위에 오른 부분은 네이버와 ‘뉴스 검색 제휴’를 이루기가 상당히 까다롭다는 점이다. 물론 타 포털사이트인 다음 등도 같은 정책이 있으나 해당 요건만 충족되면 검색의 경우에 한해서 상대적으로 제휴는 쉬운 편이다. 반면, 네이버는 애매한 규정 때문에 뉴스검색제휴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동일 기사 반복 전송 등 명백하게 문제가 되는 경우(어뷰징) 등을 이유로 해지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지난 30일 아시아투데이가 네이버의 검색권력에 대한 내용을 호소문 형태의 광고를 매일경제 1면 하단에 실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아시아투데이는 해당 광고에서 “‘검색권력’ 네이버의 오만과 독선이 도를 넘었다. 국민 여러분께서 이제는 회초리를 들 때”라며 “네이버의 ‘반사회적’ 행태를 알리고자 아시아투데이가 앞장섰다”고 광고를 낸 배경을 밝혔다.

이어 “네이버는 돈이 된다 싶으면 ‘베끼기’든 ‘집어삼키기’든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그야말로 문어발식 확장에 몰두해 왔다”며 “유통된 정보에 의해 여러 범죄행위가 발생해도 ‘장소만 제공했을 뿐’이라고 발뺌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 광고 하단에는 메일주소와 휴대폰번호까지 공개하며 “힘겨운 싸움인 줄 알고 있다. 거대한 괴물로 변하고 있는 네이버의 실체를 파악하려면 국민 여러분의 공감과 협조가 절실하다”며 적극적인 제보를 요청하기도 했다.

아시아투데이가 이렇게 ‘네이버 저격수’를 자청하면서까지 광고를 낸 까닭에는, 지난 5월 네이버 검색제휴에서 제외된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가 검색시장의 70%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만큼, 언론사 입장에선 인터넷 사이트의 트래픽률이 현저하게 떨어져 배너광고 등에 타격을 입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제휴를 맺은 웹사이트만 노출된다. 검색 제휴를 맺지 못한 사이트는 아예 검색이 걸리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언론사를 통제, 상거래 사이트 등 네이버 비즈니스와 충돌이 되는 사이트들에게 보이지 않는 차별과 불이익이 간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또한 언론사를 입맛대로 선택하고 있다는 논란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 중이다.

메이저 언론 밥그릇 챙기기?

검색에서 제외된 아시아투데이 외에도 메이저 언론사로 꼽히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신문 등의 주요 언론사도 ‘네이버 공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모습을 보여 이목이 집중된다.

매일경제신문은 지난 7월 9일자 신문에서 1면 톱을 비롯해 3개면에 걸쳐 네이버를 ‘甲중의 甲’, ‘약탈자’ 등으로 묘사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조선일보도 지난 두 달 간 네이버의 기사를 지속적으로 게재했다. 지난 6월 4일자 기사에서는 ‘네이버, 계약 만료 前 “광고비 40% 올리겠다”’, 지난 6월 14일자 칼럼에서는 ‘제2의 네이버가 없는 이유’ 등을 제목으로 네이버의 문제점 지적했다. 중앙일보에도 역시 비슷한 시기에 네이버와 관련된 기사가 올라왔다. 지난 6월 12일자 기사에서는 ‘여대생 개발 앱 베낀 네이버…“동네 약탈”’, 지난 6월 13일자 기사에서는 ‘규제는 아마추어, 네이버는 프로…네이버 툴바에 갇힌 IT’ 등의 자극적인 제목을 써가며 네이버를 집중적으로 비판했다.

 

메이저 언론들이 앞 다퉈 네이버 비판에 뛰어든 이유로는 앞서 언급한 네이버의 독과점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네이버의 메인화면이 지난 4월 뉴스캐스트 정책에서 뉴스스탠드로 바뀐 것 때문이라는 의견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동안 언론사들이 뽑은 기사들이 뉴스캐스트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언론사를 선택해 들어가야 하는 뉴스스탠드 방식은 불편함에 이용자들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그동안 트래픽으로 재미를 보고 있었던 조·중·동·매경 등의 메이저 언론들의 트래픽이 급감, 이에 불만을 품은 이들이 네이버 공격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뉴스캐스트의 최대 수혜자가 네이버 자체라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겉으로는 메인화면의 노른자 공간을 언론사에게 돌려준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모바일이나 네이버뉴스 섹션에서 뉴스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네이버가 이득을 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 김상헌 NHN 대표

네이버는 메이저 언론사들에까지 뭇매를 맞게 되자 간담회를 열고 상생을 외치기에 이르렀다. 지난달 29일 김상헌 NHK 대표가 서울 중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앞으로 ‘상생협의체’를 우성해 유관 협회들과 공동으로 ‘벤처산업 동반성장협의체(가칭)’를 만들어 본격적으로 중소기업과 소통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것이다.

하지만 주요 언론들은 이를 평가절하하며 부정적인 기사를 연이어 쏟아냈다. 이처럼 언론들이 앞 다퉈 네이버를 비판하는 것은 네이버의 독과점 문제를 더 이상 묵과해서는 안 된다는 강력한 공감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네이버 독과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도 점차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지난 5월에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업체의 불공정 거래 행위 여부에 대한 조사를 착수했고, 지난 7월에 들어서는 정치권에서 네이버 등 포털의 독과점 폐해를 바로잡기 위한 법안 발의를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