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 김미화 기자] 국민의 92.9%가 가장 신뢰하는 소방관의 근무환경이 열악해 문제가 되고 있다.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우리는 자연스럽게 숫자 119를 떠올리게 된다. 우리에게 소방관은 화재를 진압하는 공무원이자, 신변을 위협받을 때 찾게 되는 안전지킴이고, 긴급한 상황에서 반드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믿는 슈퍼맨인 것이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소방관과 직결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특수공무원에 속하는 그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지는 관심이 없다. 목숨을 담보로 일하는 소방관에게 그에 따른 보상이 있을 것이란 막연한 생각으로 정작 그들의 안전에는 무심했던 것이다.

소방방재청 통계에 따르면 화재진압용차와 구급차를 비롯한 소방차의 노후율이 20%가 넘었다. 현직 소방관이라고 주장한 한 네티즌은 인터넷에 글을 올려 개인소방장비 지급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개인적으로 물품을 사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소방관의 구조 활동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지만 소방인력은 부족하다. 소방관들은 부족한 개인소방장비를 가지고 3교대 혹은 2교대로 현장에 나가고 있다.

이런 소방관의 처우는 미미하다. 매년 6명꼴로 순직하고 소방관의 평균 수명이 58세에 불과하지만 그들의 생명 수당은 5만원에 불과하다.

생명수당은 지난 2001년 홍제동 화재사건으로 6명의 소방관이 순직하자 생명 수당이 2만원에서 5만원으로 오른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방식에 불과하다. 누군가의 희생이 있어야지만 그제야 대책을 만드는 것은 허울뿐인 울타리가 될 뿐일 것이다.

한편 정부는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해 소방방재청을 소방본부로 강등하는 내용을 입법예고했다. 실질적으로 소방방재청이 해체되고 1급 소방본부로 바뀐다는 내용은 어쩌면 지금보다 소방조직의 기능이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김미화 사회1팀 기자.

 

 


이에 지난 7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는 소방관의 1위 릴레이 시위가 있었다. 그들은 ‘안전도 빈부격차?’라며 의문을 제기하는 한편 평등한 소방서비스를 위해 소방관을 국가직으로 전환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목숨을 담보로 내놓은 소방관들에게 국가는 어떤 대접을 해줘야 하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열악한 근무 환경 속에서 소방관이 고군분투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정말 슈퍼맨 같은 소방관의 모습을 바라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소방관이 위험하다는 것은 즉 국민이 위험할 수도 있게 된다는 점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