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자산관리공사
사진=한국자산관리공사

[월요신문=승동엽 기자]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2022년 기업구조혁신포럼'을 22일 캠코 기업구조혁신지원센터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캠코과 한국성장금융이 후원하고 한국증권학회가 주관한 이번 포럼은 정준영 중앙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됐다. 특히 '금리 인상 충격'을 주제로 기업 도산가능성 진단과 구조조정 수요 등이 논의됐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빈기범 명지대학교 교수는 '금리인상 충격에 따른 기업 도산 가능성 진단'을 주제로 "한계기업 중 퇴출이 나은 기업에 대한 연명 자금의 지원보다는,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퇴출된 기업의 이해관계자를 지원하고 재기토록 유도하는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두 번째 발제자인 오지열 한양대학교 교수는 '채권투자자 구성과 부도위험, 그리고 구조조정 수요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주제로 발제했다.

오 교수는 "기업 부도 예측과 구조조정 수요 파악시 재무 건전성과 회생 가능성 외에도 채권자 구성의 중요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앞으로 채권자 구성과 신용 위험 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잠재적 위험성을 파악한다면 정책 당국의 위기 대응 역량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두일 연합자산관리 본부장은 '기업구조조정 관련 시장 현황 및 전망과 이슈'와 관련해 "부실기업의 경우 대부분 NPL 시장을 통해 청산형(경매 등)으로 정리"된다며 "한계산업 개편과 부실기업 정상화를 위해 PEF 투자자 주도의 사전적 구조조정 진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발제 후 Q&A는 전대규 前 서울회생법원 부장판사(現 호반건설 부사장)가 주관했으며, 우상범 서울회생법원 판사,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박주흥 삼정회계법인 전무 등 분야별 전문가가 패널로 참여해 활발한 질의응답과 토론이 이뤄졌다.

권남주 캠코 사장은 "자본시장 중심의 상시적 기업구조조정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상호 협력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캠코는 자본시장의 공적플레이어로서 기업들의 원활한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