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김다빈 기자]올해 들어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하고 있는 반면 전세가격이 오르며, 전국 공동주택 10가구 중 4곳 가까이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은 6일 '한국도시연구소'와 함께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전국 공동주택 단지 4만947곳의 전세가율(평균 전세가/평균 매매가)을 분석해 발표했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아파트 전세가율이 100%를 넘어선 곳은 ▲충북(113.6%) ▲전북(110.0%) ▲충남(109.8%) ▲경북(108.5%) 등이었다.

또 ▲세종(49.0%) ▲서울(51.4%) ▲경기(74.7%)를 제외한 전국 모든 시·도에서는 이 비율이 80%를 초과했다.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깡통전세' 단지 비율이 37.6%였던 것.

깡통전세는 집주인의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 합계가 집값에 육박해 세입자가 전세금을 받지 못할 우려가 있는 주택에 쓰는 말이다. 흔히 전세가율이 70%를 넘어가면 깡통전세 위험이 높다고 풀이한다.

상반기 기준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단지 비율은 ▲경북(61.3%) ▲전북(59.2%) ▲전남(55.4%) ▲충북(55.2%) 순으로 높았다.

전세가율이 100% 이상인 단지 비율은 ▲인천(23.6%) ▲경기(10.6%) ▲서울(10.4%) ▲전남(10.1%) ▲경북(10.0%)등이 많았다.

특히 서울 마포구, 인천 부평구 등 전국에서 집값이 높다고 평가되는 곳들에서도 깡통전세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포의 한 아파트 단지의 평균 매매가가 2억6571만원에 불과하지만, 지난 6월 거래된 전세가가 2억6000만원이었다. 전세가율이 97.8%에 달했다. 인천 부평의 한 아파트 단지도 올해 상반기 평균 매매가는 2억원 내외였지만 전세가율이 100%를 넘어섰다.

박상혁 의원은 "전세가율이 높아 보증금 회수가 위험한 지역이 서울, 인천 등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세입자가 정확한 정보에 근거해 전세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방법과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