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치러진 한나라당 원내대표 경선 과정에서 소장파들로 이뤄진 초재선 그룹은 “이재오계는 안 된다”고 못을 박았다. 정권 창출의 공신인 정두언 최고위원도 “이재오 특임장관이 뭘 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 역시, 소위 ‘이재오 러시’에 합류했다. 정 전 대표는 “위기에 빠진 당을 위해 이 장관과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나라당의 여론이 온통 ‘이재오’로 모아졌다. 정권 2인자로 여권 최대 계파인 친이계 좌장이라고는 하지만, 이처럼 특정 인물의 이름이 당내 화두가 된 적은 드물다. 이재오 장관의 거취를 둔 논란에 구당의 몸부림이라는 지적이다.

 

하지만, 최근 이재오 장관을 거론하는 말속엔 그에 대한 칭찬보다는 질타와 책임이 담겨있다. 지난 재보선 패배의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이 장관의 역할과 결과에 불만이 더해진 탓이 크다. 당권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면서, 정권 들어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말도 나온다. 이재오 장관의 거취를 살피고, 그를 둘러싼 위기론의 실체를 들여다본다.

 

 

 

이재오 특임장관은 지난 대선 당시 정권 창출에 공을 세운 공신 중의 공신이다. 특히는 그는 한나라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치르기도 한 경선 과정에서 이 대통령을 향해온 네거티브 공세를 온몸으로 막아낸, 특등 공신으로 통한다.

 

여당은 지금, ‘이재오 성토장’

 

이러한 정치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는 집권 이후에도, 이 대통령에 이은 이른바 ‘정권 2인자’라는 별칭을 들은 바 있다. 그의 지위는 집권 후반기에 들어선 지금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다수의 관측이다.

 

하지만, 그의 정치적 지분이 대선 과정에서 세운 공로로 이뤄진 것만은 아니다. 치열한 세력전이 펼쳐지던 과정에서 이 대통령의 추종 세력인 ‘친이명박계’를 하나로 엮는 좌장역도 그의 몫이었다. 이일로 그는 현행 정치권에서도 거대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친이계의 컨트롤 타워로 불린다. 전면에 나서지 않았을 뿐이지, 이미 당권자들을 넘어선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외형만을 본다면, 그는 분명히 권력의 한가운데서 요직을 꿰차고 정국을 쥐락펴락 해야하는 것이 맞다.

 

그러나 이 특임장관은 세간의 생각과 달리, 여러 정치적 위기에 직면한 바 있다. 집권 초기, 시작된 친이계 내부 갈등으로 이 특임장관은 약 2년여 미국에 외유를 떠나야 했다. 돌아와서도 정국 전면에 모습을 드러내기까지는 오랜 시일이 결렸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 그가 갖는 입지는 타의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막대하다. 실제, 그는 지난해 7월 치러진 재보궐선거를 이후, 지난 연말 전격적으로 단행된 예산안 통과를 진두지휘하는 지도력을 보였다.

최근까지도, 정권으로선 난제로 꼽혀온 ‘개헌론’에 불을 붙이며, 여당에 전담기구를 설치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가 주창한 ‘18대 임기내 개헌 카드’는 아직도 불씨를 남기고 있다.

 

그의 힘이 발휘된 사례는 이것말고도 더 있다.

 

불똥인가, 후폭풍인가

 

얼마전 막을 내린 재보선에서 그의 지도력은 다시 한번 불을 뿜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국에 걸쳐, 진행된 선거에서 정권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친이계를 선거전에 투입, 격전을 벌인 것으로도 전해졌다.

 

그런데, 이런 이 특임장관의 이른바 ‘충정(?)’은 예상치 못한 결과로 나타났다. 선거 결과 한나라당이 민주당에 대패를 한 것이다. 더욱, 한나라당은 자신들의 안방이나 다름없는 경기도 분당(을)에서 적장인 민주당 손학규 대표에 무릎을 꿇는 수모를 겪었다. 초반 우세를 지키지 못하고, 역시 전통적 강세지역인 강원도에서도 역전패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재보선이 현 정권의 임기 중 치러지는 선거로, 야권에 유리하다는 분석이 정설이긴 하지만, 막강한 조직력을 갖춘 여당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올 만하다. 여기에 민주당이 내건 정권 심판론과 견제론이 먹혀들면서 등돌린 표심은 여당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한나라당에 몰아친 후폭풍의 충격파는 간단해 보이지 않는다. 선거가 당 조도부 중심의 일정이었던 만큼, 현행 주류로 구성된 지도부에 대한 질타는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이일로 안상수 대표 체제는 출범 10개월여만에 붕괴되는 비운을 맛봤다.

 

문제는 지난 선거의 책임론이 지도부에만 머물지 않고 있다는 것. 익히 이 특임장관이 당권을 넘어선 실권자라는 점에서 책임론의 일부가 이 특임장관을 향했다는 것이다. 최근 한나라당을 비롯해 정가에 떠도는 이른바 ‘이재오 위기론’의 실체가 바로 이것이다.

 

이 특임장관이 지닌 정치적 지분에 비해, 지난 선거 결과는 여권에 너무 큰 상처를 안겼다는 주장이다. 더욱, 지도부가 와해될 정도로 강한 후폭풍 탓에 향후, 거대여당의 행로조차 마땅치 않다는 것이 여당에 팽배한 위기 의식 중 하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그간 속으로 삭여온 불만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게 외부로 표출되는 상황. 특히 마치 정국이 이 특임장관의 성토장이라도 된 듯 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식을 줄을 모른다.

 

주류-비주류, 세력전 양상

 

이중 같은 친이계로 정권 창출에 의기를 투합했던 정두언 최고위원은 이 특임장관에 대한 비판의 수위를 높이며, “당에 직접 들어와 일 해야지 밖에서 그러면 안 된다”고 일침을 가하며 심지어 이 대통령과의 관계를 일러 ‘아바타 정치’라고 지적하고 “당에 들어와 자신의 소신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이 특임장관에 대한 비판은 정 최고위원의 목소리만은 아니다. 최근 끝난 ‘원내대표’ 선출 과정에서 드러난 ‘이재오 성토 러시’는 그야말로, 이 특임장관의 입지에 위협이 될 정도였던 것. 재보선 이후를 책임질 원내 사령탑 선거에서 이 특임장관계 후보들을 일러 “이재오계는 안된다”는 말이 공공연히 떠돌았다.

 

더욱, 이러한 반응이 친박계나 무당파를 중심으로 나온 것이 아니라, 같은 친이계 그중 비주류 진영에서 터져 나왔다는데 심각성이 있어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볼 경우, 현행 ‘이재오 위기론’은 단순히 이 특임장관의 위기론이 아니라는 말이 된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는 친이와 친박, 친이 주류와 비주류간 물밑 신경전이 재보선의 후폭풍을 겪으며 수면위로 올라온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이를 달리 표현한다면, 여권 내부의 세력전이 되는 셈.

 

이와 관련해 정두언 최고위원의 일설은 현 사태를 원색적으로 보여주는 단면으로 해석된다. 정 최고위원은 지난 1일에도 재보선 패배의 책임론을 제기하며 “국민의 신뢰를 잃고 지지를 깎아먹는 사람은 뒷자리에 계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소장파들 역시, 현행 주류의 2선 퇴진을 주장하며 쇄신의 날을 세우기도 했다.

 

정황을 따져, 이 특임장관과 관련된 ‘위기론’은 한나라당 주류와 비주류, 계파간 세력전의 단면이라는 시각이다. 그러나 여전히 지분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당권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위력을 갖고 있어, 반발력의 강도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