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한국신용평가>

[월요신문 허창수 기자] 은행 등 금융권 부채를 제 때 갚을 수 없는 한계가구가 200만 가구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매달 최저생계비를 뺀 소득에서 원리금을 갚고 나면 가계가 마이너스 상태에 놓이게 되는 가구를 말한다.

14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부채를 보유한 전체 1086만3554가구 중 한계가구는 200만가구로 전체 부채 보유 가구의 1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한계가구가 보유한 은행권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69조원으로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648조원)의 26.1%를 차지한다.

은행별 한계가구 대출 규모는 시중은행이 144조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방은행(15조원)과 외국은행(10조원)이 뒤를 이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의 리스크가 큰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은행권의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의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101조원으로 은행 전체 주택담보대출(348조원)의 32.1%에 달했다. 이는 ‘초이노믹스’로 불리는 최경환 전 부총리의 부동산 경기부양 정책이 시행되기 직전인 2013년 말(15.4%)에 비해 두 배 이상 급증한 수치다.

이와 관련 여윤기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시간이 지나면서 한계가구로 편입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금리 인상과 경기위기가 현실화되면 변동금리로 대출받은 가구들이 채무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일반은행은 한계가구 부실을 반영해도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에 문제가 없겠지만, 고객 중 신용도가 떨어지는 한계 차주가 많은 제2금융권은 위험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