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고은별 기자

[월요신문=고은별 기자]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국내 산업이 위기를 맞았다. 관광·유통업계를 시작으로 자동차·화장품·항공 등 전방위적으로 피해가 확대된 모습이었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줄어들면서 상인들 역시 매출이 급격히 줄었다. 오죽하면 한때 요우커의 ‘메카’로 통했던 명동 거리에도 중국인들이 일제히 사라졌을까.

지난해 하반기 이후 중국의 사드 경제보복이 가시화되면서 연일 뉴스에선 국내 산업부문의 매출이 급감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중국의 사드 보복 중심에 있던 롯데는 지난 9월 롯데마트 매각 등 중국시장 철수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롯데에 따르면 중국마트 총 99점 중 사드영향으로 영업이 정지된 곳은 74점, 임시휴업 중인 곳이 13점이다. 사드 보복 조치로 롯데마트는 중국에서 1조원 가량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업계 또한 피해가 만만치 않았다. 현대·기아차는 중국 내 판매량이 지난해에 비해 반토막이 났고, 사드 보복이 본격화된 올 2분기 기준으로는 판매량이 64%, 영업이익이 30%가량 줄어드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 밖에 화장품과 면세점 업계에도 사드 피해가 실적으로 고스란히 드러났다. 업계 1위 아모레퍼시픽의 올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줄어든 1조4130억원을, 영업이익은 57.9%나 감소한 1304억원을 기록했다.

기업들의 초라한 실적표를 봤을 때 그간 중국 내 경제의존도가 얼마나 높았는지 그대로 나타난 한 해였다.

사실 중국은 인구 대국이라는 면에서 어느 국가에게든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현지에 공장 설비를 갖추고 소비취향에 맞는 제품을 개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문제는 그렇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그 피해 또한 막대하다는 점이다. 이번 사례를 봤을 때 향후에도 정치·외교적 갈등이 발생할 경우 또 다시 경제 분야가 보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현재는 한중관계가 해빙 무드에 접어드는 분위기라 관련된 모든 업계가 실적회복을 기대하고 있지만, 지난 사태가 낳은 문제는 충분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다.

이번 사태를 교훈 삼아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시장을 다변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구책을 갖춘 기업만이 다음 위기에서 살아남는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