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말 3126개, 폐업증가 감안시 2010년 이후 지속 늘어
7년째 한계기업 504개 영업적자로 금융기관 대출로 연명

[월요신문=임민희 기자] 부동산·건설업을 중심으로 한계기업 수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란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서는 이자상환이 어려운 기업으로 이자보상비율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특히 2년 연속 한계기업이 전체의 69%에 달했고 7년 동안 한계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업도 23%를 차지해 영업적자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했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계기업 수는 2016년말 3126개로 전체 외감기관의 14.2%를 차지했다. 이중 중소기업은 2666개로 대부분(85.3%)을 차지했고 대기업은 460개를 기록했다.

2016년 한계기업 수는 2015년(3278개)보다 152개 줄었으나 폐업증가 등을 감안하면 2010년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신규 한계기업의 증가폭은 969개에서 889개로 축소됐으나 폐업 등으로 한계기업에서 제외된 기업수 역시 297개에서 443개로 크게 늘었다.

2016년 한계기업에서 정상기업으로 전환된 기업은 598개로 전년(633개)보다 감소했다. 2년 연속 한계기업에 머무른 기업은 전체의 68.8%(2152개)에 달했다. 또 7년 이상 한계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업도 23.4%(504개)나 됐다.

이들 기업은 구조적으로 이익창출 능력이 떨어져 수년간 한계기업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폐업하는 사례가 많았다. 한계기업 중 적자기업은 69.3%(2167개), 7년 연속 한계기업 중 적자기업은 72.4%(365개)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건설업 비중이 신규 한계기업의 25.1%, 폐업기업의 28.2%로 타업종 대비 높았다. 철강·조선·해운·석유화학 등 4대 취약업종(11.1%)은 그간 구조조정 영향으로, 도소매·음식·숙박업(12.2%)은 폐업 등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신운 한은 금융안전국장은 “한계기업 중 부동산·건설업 비중이 높은 것은 2012~2013년 건설경기가 좋지 않았던 것이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며 “한계기업들은 금융기관에서 계속 대출을 받고 있는데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상환 부담 증가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 한은과 정부가 함께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2016년말 금융기관의 한계기업 신용공여 규모는 122조 9000억원으로 전체기업 신용공여(820조 3000억원)의 15% 수준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4대 취약업종이 40조 9000억원(33.3%), 부동산·건설업 26조 1000억원(21.2%), 도소매·음식·숙박업이 9조 3000억원(7.6%)을 보였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