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비수기, 부동산 경기 악화 등 영향 커
문의전화 '뚝'…한숨 커지는 수도권 아파트 시장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락 폭이 커지면서 바닥론이 거론되고 있지만 2006년 이후 43% 올랐던 집값이 고작 7% 빠진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주)부동산써브(www.serve.co.kr)가 수도권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45만4630가구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현재까지 3.3㎡당 매매가를 분석한 결과, 2006년부터 최고점인 2008년 9월까지의 변동률은 43%를 기록한 반면 최고점 이후(2008년 9월) 현재 변동률은 -7%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집값이 오를 때는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오르지만 올랐던 집값이 내리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경우 2006년 3.3㎡당 매매가격이 882만원에서 최고가격인 1260만원을 기록했던 2008년 9월까지 43% 올랐다. 최고점에서 현재(1173만원)까지는 7% 내렸다.
강남·서초·송파 강남3구는 2283만원이었던 매매가격이 2007년 1월 3001만원으로 고점을 찍어 31% 올랐다. 현재는 2714만원으로 9% 떨어졌다. 강북3구는 2006년 662만원→2008년 9월 1245만원으로 올라 무려 88%나 치솟았다. 최고점을 기록한 뒤 현재(1127만원)까지 9% 하락했다.
2006년 5월 버블세븐(거품 많은 7개 지역)으로 지정됐던 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은 1657만원→2007년 2월 2168만원으로 강남3구와 마찬가지로 31% 올랐다. 고점 이후 현재는 1899만원으로 2000만원 선이 붕괴되며 12% 시세가 내렸다.
과거 폭등전의 아파트 값 수준과 비교해 봤을 때, 앞으로의 추가 가격 하락 여지가 있는 데다 유로존 금융위기가 여전하고 집값 상승 기대감도 저하됐기 때문에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 하향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된다.

서울 동향

7월 셋째주 유럽발 글로벌 금융 악화가 더욱 심화되면서 우리나라 증시도 출렁이는 등 악재가 지속되며 서울 매매시장은 더욱 조용한 모습을 보였다. 장마철까지 겹쳐 매수세는 더욱 없다. 전세 시장도 휴가철에 들어서면서 거래가 없어 조용한 모습을 보였다.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6%. 강남구(-0.17%), 양천구(-0.11%), 마포구(-0.08%), 노원구(-0.08%), 강동구(-0.08%) 등이 하락했다.
강남구는 거래가 전혀 안 된다. 개포동 시영 42㎡형은 1000만원 내린 5억2000만~5억4000만원이고 압구정동 현대2차 178㎡형은 2500만원 내린 18억7500만~21억5000만원선이다.
양천구는 비수기 접어들면서 매도자도 많지 않고 매수자도 없다. 신정동 신시가지9단지 148㎡형은 2500만원 내린 11억~12억5000만원이고 목동 삼익 149㎡형은 3000만원 내린 6억~7억원선.
서울 전셋값 변동률은 0.00%를 기록했다. 강남구(-0.03), 노원구(-0.02%), 송파구(-0.02%), 성북구(-0.02%), 중랑구(-0.01%) 순으로 내렸다. 반면 마포구(0.05%), 서초구(0.05%), 강서구(0.02%) 등은 오르기도 했다.
강남구는 전세 물건이 많진 않지만 수요는 더 없어 전셋값이 소폭 하락했다. 대치동 현대 112㎡형은 1500만원 내린 5억~5억4500만원이고 청담동 한신오페라하우스 158㎡형은 1000만원 내린 5억4000만~6억1000만원이다.
노원구도 싼 전세 물건 위주로만 거래되고 거래가 없다. 상계동 우성 112㎡형은 1000만원 내린 2억~2억2500만원이고 중계동 주공5단지 79㎡형은 250만원 내린 1억7500만~1억9500만원이다.

수도권 동향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7월 셋째 주도 조용한 분위기다. 무리한 대출로 빨리 처분하고 싶은 매도자와 문의 전화 한 통 걸려오지 않는 다는 중개업소의 한숨 소리만 커지고 있다. 전세시장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간혹 싼 소형아파트 정도가 거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이 움직임이 없었다.
경기 매매가 변동률은 -0.03%를 기록했다. 파주시(-0.12%), 안양시(-0.11%), 오산시(-0.08%), 성남시(-0.06%), 부천시(-0.06%), 남양주시(-0.02%) 등이 내렸고 화성시(0.04%), 김포시(0.01%)는 상승했다.
남양주시는 문의 전화도 없고 급매물도 거래가 안 된다. 와부읍 덕소아이파크 157㎡형은 2500만원 내린 4억9500만~5억7500만원이고 퇴계원면 극동 72㎡형은 1000만원 내린 1억9000만~2억1000만원이다.
신도시는 -0.05%를 기록했다. 평촌(-0.11%), 분당(-0.05%), 산본(-0.03%), 일산(-0.03%), 중동(-0.02%) 순으로 하락했다.
경기 전셋값 변동률은 -0.01%다. 구리시(-0.11%), 용인시(-0.09%), 안양시(-0.07%), 하남시
(-0.03%), 광명시(-0.02%) 순으로 많이 내렸고 이천시(0.08%), 부천시(0.03%) 등은 올랐다.
용인시는 비수기 탓에 전세 문의가 없다. 주택형에 상관없이 전셋값은 하락세. 동백동 호수마을자연앤데시앙 109㎡형은 1000만원 내린 1억4000만~2억원이다.
신도시는 -0.02%를 기록했다. 평촌(-0.12%), 분당(-0.02%)이 하락했고 일산(0.05%)은 상승했다.

지방-충청권 동향

충청권 아파트 매매시장은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매수세가 주춤하다. 대전은 엑스포과학공원 부지에 롯데테마파크가 조성된다는 소식에 문의전화가 늘었지만 거래까지 이어지긴 힘들다. 전세시장 역시 비수기 탓에 일부 지역을 제외하곤 세입자 문의가 줄고 거래가 드물다.
대전 매매가 변동률은 -0.03%이다. 유성구(-0.07%), 대덕구(-0.03%), 서구(-0.01%)가 하락했다. 서구는 엑스포과학공원 부지에 롯데테마파크 조성 계획이 발표되면서 문의전화가 늘었다. 다만 아직 거래로 이어지진 않는 분위기. 사장동 삼성래미안 79㎡형은 500만원 내린 1억5100만~1억9100만원이다.
충남은 0.01%이다. 천안시(0.02%), 아산시(0.01%)가 상승했다. 충북은 0.01%. 청주시(0.01%)만 상승했다.
대전 전셋값 변동률은 -0.02%이다. 유성구(-0.04%), 서구(-0.03%)가 하락했다.
유성구는 휴가철을 앞두고 세입자 문의가 줄었다. 반석동 반석마을7단지(르네상스1) 112㎡형은 500만원 내린 1억5500만~1억7750만원이고 지족동 반석마을2단지 계룡리슈빌2차 189㎡형은 500만원내린 2억8000만~3억원이다.
충남은 0.00%으로 아산시(0.01%)만 상승했다. 충북은 0.00%로 전 지역 움직임이 없다.

 

자료 : (주)부동산써브(www.serve.co.kr)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