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정책금리 1.75~2.0% 인상, 한미금리 역전폭 0.50%p↑
이주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자본유출 VS 가계부채 난제

미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으로 한미간 금리격차가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임민희 기자]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석달만에 또 다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연 1.50%)와의 금리역전폭은 0.50%포인트로 벌어졌다.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시계도 빨라질 거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미 연준은 13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연방기금 금리를 1.75~2.0%로 인상했다. 지난 3월 인상 이후 석달만이며 올해 두번째 인상이다.

이번 금리인상은 미국의 경제성장세에 대한 강한 자신감에서 비롯됐다. 연준은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8%로 상향 조정했고, 실업률은 계속 하락해 연말 3.6%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올 하반기에도 기준금리를 2차례 추가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내년도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기존 전망대로 세 차례를 유지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회의 이후 기자회견에서 “경제가 매우 잘 돌아가고 있다”며 “유가가 인플레이션을 연준 목표인 2% 위로 밀어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미간 정책금리는 지난 3월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10년 7개월 만에 역전됐다. 금번 6월 금리인상으로 양국금리는 2007년 8월 이래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 시사로 한미간 금리격차가 더 벌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자본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FOMC 금리인상은 예상했던 결과로 금융시장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1∼2번의 금리인상으로 자본유출이 촉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일축했다.

한은은 금리인상 시점을 두고 고심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소비증가와 수출 호조 등으로 국내 경기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금리인상시 147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문제가 경제뇌관으로 부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지난 12일 창립 제68주년 기념식에서 “수요측면에서 물가상승압력이 아직 크지 않아 올 하반기에도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면서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