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없는 결제 장점…실효성은 여전히 의문

<사진=뉴시스>

[월요신문=고병훈 기자] ‘수수료 0%’를 내세운 지역페이 시대가 임박했다. 6·13 지방선거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인을 비롯해 김경수 경남지사 당선인, 김영록 전남지사 당선인, 박남춘 인천시장 당선인 등 지역 고유의 간편결제시스템 도입을 약속한 후보들이 일제히 당선되면서 ‘지역페이’ 도입이 현실화 되고 있다.

‘지역페이’는 지역 자영업자들에게 특히 장점이 될 수 있는 서비스다. 무엇보다 신용카드 결제망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 부담이 컸던 카드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시스템 운영비와 관리비 등은 지자체 부담이 원칙이어서 상인들이 부담할 비용도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페이 도입을 앞두고 관련업계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안을 마련하는 중”이라며 “박원순 서울시장의 선거 주요공약이었던 만큼 약속된 기간 안에 서울페이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카드사와 밴(VAN)사,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사 등 3단계를 거치는 신용카드 결제와 달리 중간 결제망을 거치지 않아 자영업자가 신용카드사에 내는 카드수수료율을 현행 2.5%에서 ‘제로화’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구상이다.

하지만 카드업계에서는 지역페이에 대한 평가가 싸늘하기만 하다.

현금이체 방식으로 수수료 발생이 없어 업자에게는 유리할 수 있지만 카드 사용에 익숙해진 소비자에게는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페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전제가 돼야 하는데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과연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지역페이를 이용할지는 의문이다”며 “국내 결제서비스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는 상황에서 지역페이 사용을 대중화시키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국내 결제서비스 점유율은 신용카드 54.8%, 체크·직불카드 16.2%, 현금 13.6%, 계좌이체 15.2%, 전자화폐 등 기타 0.2%으로 집계됐다. 카드를 기반으로 하는 결제가 전체의 70%에 달하는 셈이다.

관계자들의 말처럼 지역페이의 성공 여부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참여에 달려 있다. 카드 수수료 부담이 없는 사용자 입장에서 지역페이는 별다른 득이 없는 서비스다. 오히려 앱을 받아 설치하고 개인 은행 계좌를 등록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절차를 밟아야 한다.

지역페이 도입으로 업계에 타격을 입을까 우려했던 카드업계는 관망세로 돌아섰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지역페이가 결제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까지 상당 시간 소요될 것”이라며 “당장 지역페이가 도입되더라도 카드업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부가 지역페이 활성화를 위해 과도한 혜택을 준다면 카드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역페이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소비자 유인책을 고심 중”이라며 “다른 지역과의 연계, 오프라인 가맹점 확대, 공공사업과 연계한 할인혜택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