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호 기자

[월요신문=김덕호 기자] 올해에도 어김없이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이 거리로 나섰다.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자신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대화 중단을 외치며 파업에 나선 것이다. 매년 5~8월 이뤄지는 습관성 파업, 이른바 '하투'의 시작이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지난 20일 임금협상과 관련한 잠정 합의안을 이끌어내냈지만, 찬반투표를 앞두고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1차 잠정 합의안이 부결된 사례는 많다. 올해도 반대세력들은 반대표 결집에 나서고 있다. 물론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기아자동차 등도 임단협을 마무리짓지 못하고 있다.

노조가 임단협에 나서는 자세는 의연하다. 머리에 붉은 띠를 메고, 소속을 알리는 조끼를 입은 채 깃발들 들고 정연히 거리로 나선다. 당당한 걸음걸음으로 '정의'와 정당성을 보이는 듯하다.

올해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대비 5.3% 오른 11만6276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조건없는 정년 60세 보장 등을 요구했다. 당초 7.4% 인상안을 제시하려 했지만 5.3%만 요구하고 차액 2.1%는 중소 협력사 근로자들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임금을 올리는데 사용하라는 주장이다.

의아한것은 이 주장을 내세우며 거리로 나선 노조가 '재벌개혁', '적폐청산', '비정규직 차별 철폐'와 '하후상박' 임금체계 달성을 외쳤다는 것이다. 이들의 요구에 반해 사용된 어휘들은 다소 괴리가 있었다.

지난 20일 임단협 잠정안이 타결됐지만 잠정안에서 비정규직이나 하후상박과 관련된 결과물은 찾아볼 수 없었다. 단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후상박'을 외친것은 아닐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기본급 14만6746원 인상(호봉승급분 별도)과 성과급 최소 250% 지급, 자기계발비 10시간 추가 지급 등을 요구했다. 일감없는 해양사업부의 인원 모두에 대해 고용유지가 돼야 한다는 주장도 담았다.

일방적인 주장을 담은 제시안에 현대차는 7년 연속, 현대중공업은 5년 연속 파업 행진 중이다.

이외에도 13조원의 세금이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의 노조는 임금 4.11%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등 노조의 일방적 주장을 담은 제시안은 계속 제시되고 있다.

위 세 회사 노조의 주장을 종합하면 임금은 올리고, 일 할 시간은 줄이고, 유휴인력은 계속 유지하자는 내용이 나온다.

다만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대안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생산성을 더 높이겠다거나 해외 경쟁사 대비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만들겠다는 계획조차 없다.

현대차 노조, 현대중공업 노조, 대우중공업 노조 이 세 노조의 경우 ‘귀족노조’라는 수식어가 달린다. 노동자로서의 '정규직'의 수혜를 누구보다 충분히 누렸다.

그러나 '정규직'이 아닌 노동자들은 그들의 생산성을 시험대에 올려야 한다고 말한다. 협력사 또는 비 정규직 노동자들의 시선으로 봤을 때 그들 ‘노조’와 ‘정규직’은 과연 경쟁력 있는 노동자일까?

정부, 기업과 더불어 노동계도 경제사회 주체의 한 축이다. 노조의 주장이 좀 더 깊이있고, 유연하고, 경제 상황이나 경기 변동을 반영해야 보다 설득력 있는 행보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