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진에어

[월요신문=고은별 기자] 일부 저가항공사(LCC)를 중심으로 객실결함 방치 실태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객실 정비에는 안전벨트, 산소공급 장치, 탈출용 미끄럼대, 구급물품 등 필수 안전장비 점검까지 포함된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용호 의원(무소속)이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2015~2017년 항공사별 객실결함 정비이월 현황’에 따르면 진에어는 결함 총 1477건 중 1336건을 정비이월했다. 결함 중 90.5%는 정비를 미룬 것으로, 국내 항공사 중 이월률이 가장 높았다.

이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진에어와 에어서울은 자체 정비 인력을 두지 않고 각각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에 정비를 위탁하고 있었다.

정비이월은 결함을 발견해도 즉시 정비하지 않고 미룬 것을 의미한다. 진에어 다음으로는 에어부산이 객실결함 685건 중 533건(77.8%)을 정비이월했고, 이스타항공은 1389건 중 1023건(73.7%), 에어서울은 111건 중 53건(47.7%)을 이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객실결함 6519건 중 2889건(44.3%)을 정비이월했다. 티웨이항공의 경우, 3486건 중 1082건(31%)을 미룬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국내 항공사 중 객실 정비가 가장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는 곳은 대한항공으로, 총 30만5681건 중 이월 건수는 6912건(2.3%)에 그쳤다. 제주항공의 경우 총 8948건 중 단 321건(3.6%)만 정비이월해 저가항공사 중 객실 정비 실적이 가장 뛰어났다.

항공사별 객실 정비인력은 이달 기준 대한항공 323명, 아시아나항공 109명, 제주항공 37명, 티웨이항공 13명, 에어부산 7명, 이스타항공 5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의원은 “항공기 객실 정비는 단순 환경미화가 아니라 안전과 깊이 연관된 만큼 결코 소홀해선 안 된다”며 “각 항공사는 인력을 확충해 안전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토부는 조속히 각 항공사 안전실태를 전수조사 하고 안전 마일리지 제도 도입을 포함해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진에어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정비이월 세부사항에 차이가 있다는 입장이다. 진에어 관계자는 “진에어의 경우 타사와 달리 최소구비장비목록에 해당되지 않는 정비이월 사항(객실 시트 얼룩 등)을 포함해 제출했다”며 “최소구비장비목록만을 기준으로 적용 시 실제 정비이월 건수는 437건(약 29.6%)”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