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사진 = 산업부

[월요신문=지현호 기자] 정부가 2040년까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성과 목표를 제시했다. 수송·에너지분야 등에서 수소를 활용한 세계적 기술력 확보와 성장 동력 발굴 계획 등이 담겼다.

17일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르면 수소경제의 핵심인 수소차는 2040년까지 누적 생산 620만대 돌파가 목표다.

우선 수소승용차는 지난해 1800여대에서 2022년 8만1000대로 늘리고 2040년 620만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당장 올해에만 4000대 이상을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연간 10만대의 상업적 양산체계를 구축해 수소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현재 수소차 가격(현대차 넥쏘 기준)은 7000만원 수준이다. 정부 보조금이 더해져도 3000만원 후반대 수준이다.

수소버스는 올해 7개 주요도시에 35대 보급사업을 시작으로 2022년 2000대, 2040년 4만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수소택시도 올해 서울에서 10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2021년 주요 대도시 보급, 2040년 8만대로 확대한다. 택시의 필수 조건인 내구성 역시 2030년까지 현재 20만km에서 50만km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수소트럭의 경우 2020년 개발·실증을 마치고 2021년부터 공공부문의 쓰레기수거차, 청소차, 살수차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후 민간으로 확대해 2040년 3만대 수준으로 공급을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수소차 시장 형성을 위해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도 1200개소까지 확대한다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현재 14개 수준에서 2022년 310개, 2040년 1200개로 단계적으로 숫자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설치보조금 지원 외에 운영보조금 지원 신설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정부의 계획 실현을 위해서는 차량을 생산할 민간기업의 기술 역량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 국내에서 당장 수소차 생산이 가능한 기업은 현대차그룹뿐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2030년까지 연간 50만대 규모의 수소차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는 'FCEV 비전 2030'을 공개한 바 있다. 그 일환으로 현대모비스 충주공장 내에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제2공장 신축도 시작했다.

당시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수소전기차의 부품 국산화율이 99%에 달할 정도로 연관산업 파급효과가 큰 만큼, 협력사와 동반투자를 통해 미래 자동차 산업의 신 성장 기반을 구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대차그룹은 머지 않아 다가올 수소경제라는 신 산업 분야의 ‘퍼스트 무버’로서 수소가 주요 에너지인 수소사회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자신했다.

수소경제 활성화는 정부와 민간기업간 협업이 중요해 규제 해소 등 정책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정부는 수소차와 충전소 확대를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규제샌드박스'를 활용해 규제 완화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중에는 수소경제법(가칭)을 제정해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 하는 등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연계해 '수소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중장기적으로 전담 지원 및 진흥기관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그린수소 확대로 수소 공급량을 연 526만톤으로 늘릴 방침이다. 이렇게되면 수소 가격도 1kg다 3000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부생수소, 추출수소를 초기 수소경제 이행의 핵심 공급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수전해, 해외생산 수소 활용 등을 통해 그린수소 산유국으로 도약한다는 전략이다. 수전해는 2022년까지 MW급 재생에너지 연계 기술을 확보하고 대규모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연계할 계획이다.

이번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차질없이 이행될 경우 정부는 2040년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지난 15일 사전 브리핑에서 "전문가들은 통상 3만대를 초기 양산 단계로, 10만대를 상업적 양산 단계로 평가한다. 3만대 양산 시 공급가격을 현재보다 30% 낮출 수 있고 상업적 양산 단계에 들어가면 추가로 20%가 절감된다"며 "10만대 수준으로 양산하게 되면 현재의 절반 가격인 약 3000만원으로 수소차를 공급할 수 있어 현재 내연기관 차량과 같은 수준의 공급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 차관은 "LPG·CNG 충전소를 융·복합 충전소로 전환하는 것은 별도의 안전 기준이 필요할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부지 면적이 넓기 때문에 충분한 이격 거리나 방폭 장치 등을 두고 충전기를 별도로 분리해서 설치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안전 기준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정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