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제조하는 모습./사진 제공=르노삼성

[월요신문=최문석 기자] 일본발 경제보복을 두고 자동차부품 일부 업계가 정부를 향해 취약산업(3대품목)을 하루빨리 챙겨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일본의 입김에서 벗어나려면 당장 일본발 비중이 높은 품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다는 입장이다. 

지난 5일 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일본 경제보복을 막기 위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을 내놨다. 주요 방안으로는 총 100개 핵심품목을 지정하고, 향후 7년 간 약 7조8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게 핵심이다. 

눈에 띄는 건 단연 자동차 분야다. 집중 육성 6대분야에 포함된 자동차 부품은 1년 내에는 5개로, 5년 내에는 13개 품목으로 확대한다. 품목을 생산하는 기업에는 R&D(연구개발)자금, 세제 등 전 방위적인 자금지원으로 산업을 강화한다.   

이처럼 늦게나마 산업체질을 바꾸기 위한 움직임에 반기면서도, 정부가 현재 일본에 의존하는 부품이 무엇인지부터 파악해야 한다는 의견이 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크게 세 품목(분야)을 보고 있다. ▲기초전자부품(기판, 커넥터, 크리스탈 레저레이터), ▲자동차 내·외장 플라스틱 ▲수소차량 배터리 소재(탄소섬유)를 꼽는다.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일부 기초부품 중에는 일본에 의존하다시피한 장비가 있다. 기판이란 장치는 센서를 만들 때 필요한 부품인데 일본에서 거의 전량 수입하고 있다. 기초장비조차 만들지 못한 이유는 공학을 도외시한 우리 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당장 우려되는 건 ‘탄소섬유’다. 탄소섬유는 수소차 연료탱크를 만들 때 필수지만 일본기업 도레이(Toray)에서 거의 전량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소차 연료탱크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압을 조절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탱크 겉면에 탄소섬유를 두껍게 감아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전언. 이외에도 차량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배터리 포장지(전기반응을 유도하는 기능) 등도 일본기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공동개발을 해야 일본 부품을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관계자는 “중견기업이 고생 끝에 대체품을 만들어도 국내 대기업이 가격 경쟁력에 따라 쓰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며 “상생을 위해서라도, 경제체질을 바꾸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다”고 일갈했다.  

한편, 정부는 일본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의견 청취에 나섰다. 

산업자원통상부(이하 산자부)는 지난달 22일부터 ‘소재부품 수급 대응센터’를 운영 중이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자동차 관련 문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동차 분야의 구체적인 품목은 비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산자부관계자는 “100개 핵심품목은 정해졌지만 밝힐 수가 없다. 품목이 공개가 됐을 때 우리에게 하등 이익이 없다. 일본의 구체적인 제재가 나오지 않는 이상 어떠한 것도 확답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대일 의존도가 높은 분야에서도 실제로 피해가 있는 산업이 품목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