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천억 투입한 '호주 바이롱 광산' 좌초위기
김종갑 사장, 호주 환경단체 반발 무시하고 정부 로비만 했나

[월요신문=최문석 기자] 김종갑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 사장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곤혹스러운 처지에 처했다. 8000억원 가량을 투자한 호주 바이롱 광산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해서다. 막대한 혈세 낭비로 사퇴한 전임자들처럼 김종갑 사장도 사업 실패 책임을 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미 정치권에서는 이번 사태 책임을 묻겠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7일 한전에 따르면 호주 바이롱 석탄광산 개발사업은 최근 호주 당국(독립개발계획위원회)이 개발 승인을 불허했다. 매년 5000억원 규모의 발전용 유연탄을 국내로 들여온다는 계획이 물거품될 상황이다. 

문제는 해외자원개발의 위험성이 도출된 상태에서도 한전이 이 사업에 힘을 쏟았다는 점이다. 여기에 투입된 비용만 8300억원이다.

실제로 김종갑 사장은 지난해 11월, 바이롱 광산이 있는 현지 지방정부 시장과 호주 연방 자원부 관계를 만나 사업 승인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 무렵 현지에서는 개발에 따른 지반 침하,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환경단체들이 개발 중단 운동을 벌이고 있었다.

또 한전은 바이롱 광산 사업 불확실성을 예견해왔다. 4000억원 가량이 투자된 현지 법인의 지분 증 10%를 미리 자회사 5곳에 매각했다. 사업 승인이 불확실하고 이명박 정부 시절부터 이어진 해외자원 개발 효과를 한전도 의문을 품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 이유다.

한전이 해외자원개발로 다시 한번 혈세를 낭비할 경우 김종갑 사장은 조환익 전 사장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조 전 사장 시절 한전은 해외사업 실패로 막대한 손실을 입은 바 있다.

실제로 한전과 자회사의 해외법인 출자 손실액은 지난해 기준 2063억원에 달한다. 총 7개 기관이 해외법인에 출자했고 손실을 낸 법인은 21곳이다. 가장 손해가 컸던 자회사는 한국수력원자력으로 '니제르 이모라렝 우라늄' 광산 관리에 1535억원 출자했다가 910억원의 손실을 봤다. 해당 사업은 한전이 매각한 지분으로 관리됐다.  

앞서 '캐나다 크리이스트 우라늄 광산'에도 투자금 51억원을 들였지만 결국 한전은 지분 12.5%(51억원)를 현지 업체에 무상으로 넘기며 사업 실패를 시인했다. 

이 같은 선례로 김 사장 체제에서 추진 중인 호주 바이롱 광산 사업도 위험부담이 큰 상황이다.

일단 한전은 해당 사업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본 사업 사업승인 재신청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며 사업 강행 여지를 남겼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