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지현호 기자] 철도노조의 파업은 전국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하다. 철도 운행에 차질을 줘 시민들이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고, 화물 운송에 지장을 줘 기업들 역시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물론 과거에는 파업을 통해 그들의 열악한 근로조건과 노동환경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불편 속에서도 시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었다. 파업 역시 명분을 얻으며 힘을 받았다.

하지만 지난 11일부터 14일 오전 9시까지 진행된 이번 파업은 시민들의 불만과 외면 속에 벌어졌다. 국가 경제가 팍팍해지면서 너나 할 것 없이 빠듯한데 철도노조가 파업으로 국민을 볼모로 삼았다는 비난에 오히려 힘이 실렸다.

그럼에도 철도노조는 임금인상과 근무조건 개선을 요구하며 추가 파업을 예고했다. 내달 중순에는 무기한 파업도 불사한다는 경고다.

때를 같이해서 서울교통공사 노조도 파업을 단행하기로 했다.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이다. 이들은 임금 4% 인상, 임금피크제 폐지, 4조 2교대 전환 확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서울 지하철 1~8호선 모두 운행률 감소가 불가피하다. 정상 시의 70%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출퇴근 시간 교통대란이 오면 결국 피해를 보는 건 시민들이다.

철도노조나 서울교통공사 노조나 시민을 볼모로한 파업이란 비난을 받는다. 그럼에도 이들이 파업을 계속하는 것은 교섭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다.

시민들의 피해는 관심사 밖이다. 언제까지 당연하다는 듯이 피해를 감수해야 할까. 이제는 다른 협상 방식이 필요하다. 교섭과 결렬, 그리고 파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벗어나야 한다.

문재인 정부는 대립적 노사 관계 해소를 위해 힘쓰겠다고 했지만, 지난 2년 반 오히려 상황은 악화됐다. 철도뿐만 아니라 자동차, 철강, 조선 등 기간산업 곳곳에서 파업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현 정권에도, 국가경제에도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 정부는 하루빨리 합의를 찾는 과정이 '투쟁'으로 이어지지 않는 '한국형 노사 모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