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충무로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중구 충무로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모습. 사진=뉴시스 

[월요신문=김다빈 기자]서울 개별공시지가가 올해 평균 11.54% 올랐다. 지난해(11.54%)에 이어 2년 연속 11%대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서울시는 29일 개별지 87만3412필지의 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전년도와 동일한 11.54%의 상승률을 이어나갔다. 최근 10년(2013~2022년) 중 2019년(12.35%)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상승률이다.

서울시는 다음 달 30일까지 이의신청을 받는다. 올해 개별공시지가는 지난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됐다.

자치구별로 보면 성동구가 14.57%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영등포구(13.62%) ▲강남구(13.62%) ▲서초구(13.39%) ▲송파구(12.75%) 등의 순이었다.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높았던 곳은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인 중구 충무로 1가 24-2(상업용)였다. 1㎡당 1억8900만원을 나타냈다. 지난 2004년부터 19년 연속 최고가를 지속했지만 지난해 공시지가(1㎡당 2억650만원)보다는 8.5% 하락했다.

반면 공시지가가 가장 낮았던 곳은 도봉구 도봉동 산30(자연림)으로 1㎡당 7200원이었다.

서울 토지 중 지가가 상승 토지는 86만3385필지(98.9%)에 달했다. 하락한 토지는 3414필지(0.4%)였고 동일한 토지는 3586필지(0.4%)에 머물렀다. 이번 신규 조사대상에 포함된 토지는 3027필지(0.3%)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이의신청 토지에 대해 토지특성 등을 재조사한 뒤 감정평가사의 검증과 자치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6월 24일 결과를 조정·공시 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