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딥페이크 영상 유포자에 대한 고발장을 16일 접수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딥페이크 영상 유포자에 대한 고발장을 16일 접수했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편슬기 기자]6.3 대선을 앞두고 딥페이크를 악용한 흑색선전이 벌써부터 대선 예비후보들의 이미지에 흠집을 내고 있다. 이재명 예비후보는 딥페이크로 허위사실을 유포한 17명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는 모습이다.

딥페이크 흑색선전은 세계 각국의 선거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는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 조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로 예비 선거에 참여하지 말라는 자동 녹음 전화가 유권자들에게 전달되기도 했다.

또한 카밀라 해리스 당시 미국 대통령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거나,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였던 팀 왈츠에 대해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딥페이크 영상이 논란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딥페이크로 인한 흑색선전의 대상이 됐다. 완벽한 중국어 발음으로 중국을 사랑한다는 노래를 부르는 영상을 비롯, 올해 초에는 푸틴에게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공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고, 평화 협정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높은 관세와 세금, 제재가 이뤄질 것이라는 영상이 게재된 바 있다.

이에 러시아 하원인 안드레이 이사예프가 공식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하며 "푸틴을 위협하는 대신,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의 운명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직 미국 대통령은 이미 여러 차례 암살 시도에 직면했다"며 노골적인 협박성 메시지를 전달했다. 그러나 해당 영상은 딥페이크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지며 언론 보도가 잇따랐다.

딥페이크 논란이 일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풍자 영상 중 일부. 사진=유튜브
딥페이크 논란이 일었던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풍자 영상 중 일부. 사진=유튜브

우리나라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 선거대책위원회(이하 선대위)는 16일 서울경찰청을 방문해 딥페이크 영상 유포자 17명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선대위는 "해당 영상들은 딥페이크 기술을 악용해 이 후보에게 친중·반미 프레임을 덧씌우고 악마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허위 사실을 퍼뜨려 이 후보의 명예를 훼손했다. 이는 공직선거법의 '딥페이크 영상 등 이용 선거 운동죄'와 '후보자 비방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가발을 벗기는 영상이나 공천 개입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 명태균 씨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함께 서 있는 영상 등 본격적인 대선 선거운동이 시작되기도 전에 딥페이크 영상이 범람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딥페이크 악용에 대한 경계와 단속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선거 특별대응팀을 마련한 뒤 '허위사실비방 딥페이크 검토자문단'을 꾸렸다. 이를 통해 ▲시각적탐지기법 ▲감별 프로그램 활용 ▲인공지능(AI) 감별 자문 위원 활용 3단계 감별 체계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김기형 아주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교수(선거정보시스템 보안자문위원회 위원)는 "6.3 대선을 두고 딥페이크를 악용한 흑색선전에 대한 우려는 분명 존재한다. 학계와 관련 업계에서도 촉각을 기울이고 있는 사안"이라며 "조기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유권자들은 출처가 불분명한 숏츠와 같은 단편적인 동영상으로 후보의 공약, 성향, 발언 등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신중하게 사실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