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N클라우드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사진=NHN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흐름에 앞장서고 있다. 사진=NHN클라우드

[월요신문=편슬기 기자]NHN클라우드가 2025년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을 7개 중 5개 기관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 대구광역시, 국토지리정보원 등 공공 시장의 클라우드 전환에 앞장서고 있는 모습이다.

NHN 클라우드는 2025년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에 참여하는 7개 중 5개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를 공급한다고 10일 밝혔다.

행정안전부가 2024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은 대국민 디지털서비스의 중단 없는 서비스 제공과 장애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부문 정보시스템을 민간 CSP의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다.

NHN 클라우드는 작년 공공기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 17개 중 9개 기관의 인프라 공급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이중 올해 전환 사업이 진행되는 총 7개 기관 중 5 개 기관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를 본격 공급하게 됐다.

구체적으로 ▲교통사고 예방 사업 및 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 사업을 관할하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국가대중교통정보' ▲대구광역시의 '도서관통합' 및 '대구통합예약' ▲국토지리정보 생산·운용·보급, 측량 분야 전반 사업을 담당하는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위성정보', '지각변동감시' ▲중소, 벤처, 소상공인의 성장을 지원하는 '공영홈쇼핑'의 '영업 시스템'을 포함한 5개 기관의 시스템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를 공급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은 ▲개별 서비스 장애가 전체 서비스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안정성 ▲기능 개선 필요 시 해당 기능만 수정해 자동 배포 가능한 신속성 ▲특정 기능에 부하 발생 시 자동으로 자원을 확장하는 확장성 등 온프레미스(구축형) 환경 대비 다양한 강점을 갖췄다. 이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이 완료될 시 국민들은 항시 끊김 없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난해에 이어 NHN클라우드는 2분기 공고 예정인 2025년 클라우드 네이티브 설계 및 전환 사업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