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고서령 기자]연체율이 2% 가까이 증가한 카드사들이 비상에 걸렸다. 건전성 강화를 위한 돌파구 마련이 절실한 카드사들은 이재명 정부의 배드뱅크 설립, 제4인터넷은행 설립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분기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1.93%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만에 최고치다. 하나·비씨·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2%를 넘겼다. 카드업계는 연체율이 2%를 넘으면 위험신호로 본다.
지난해부터 카드사들은 서민들의 '급전창구' 역할을 하는 카드론을 늘렸다. 고금리, 경기침체 여파가 이어지며 상환 여력이 악화되며 연체율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올 4월 기준 카드론 잔액은 42조5005억원으로, 전월(42조3720억원) 대비 1285억원 늘었다. 올 2월에는 42조9888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2조5361억원 많다.
지난해 말 기준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BC)의 카드론 수익은 5조9억원으로, 2023년(4조5327억원) 대비 10% 증가했다. 카드사의 카드론 수익이 5조원을 돌파한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업황이 악화되면서 순익도 줄었다. 8개 전업 카드사의 1분기 당기순익은 6047억원으로 전년 동기(7244억원) 대비 16.5% 줄었다.
수익성 및 건전성 방어가 절실한 카드사들은 카드 영업에 사용하는 카드비용을 줄이고, 희망퇴직자를 받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또한 이재명 정부의 민생금융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는 배드뱅크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배드뱅크는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 등의 부실자산이나 채권을 처리하는 구조조정기관이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19일 열리는 국정기획위 업무보고에서 배드뱅크 설립 방안을 발표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 안에 배드뱅크를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금융위는 새 정부 출범 직후인 지난 5일 '개인금융채권의 관리 및 개인채무자 보호에 관한 감독규정' 변경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해당 규정은 은행, 한국자산관리동사 등으로 한정된 채권 매입기관을 비영리법인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금융위는 "상환능력이 없는 채무자들의 재기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법인의 경우 개인금융채무자의 권익보호 및 재기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며 "비영리법인으로 양수인의 범위를 확대해 정비 필요 사항을 보완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카드업계는 부실채권 매각처가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배드뱅크 설립에 긍정적인 분위기다. 다만 부실채권 매입가격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반면 정부의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은 경계하고 있다. 오는 7월 예비인가 결정이 예상되는 제4인터넷은행은 소상공인을 위한 은행으로 불린다. 저축은행, 카드사 등 보다 낮은 대출금리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카드사들이 대출 고객을 제4인뱅에 빼앗길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