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편슬기 기자]네이버 클라우드의 업무용 협업 툴 '라인웍스(LINE WORKS)'가 서비스 10주년을 맞이해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일본 협업툴 시장에서 명실상부한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올인원 앱으로 설계한 점이 시장 점유율 확보 '성공 요인'이 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일본에서 서비스 중인 업무용 협업 툴 '라인웍스(LINE WORKS)'의 10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라인웍스의 지난 10년간 주요 성과와 함께 일본 B2B 사업의 향후 방향을 공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일본 사회의 주요 과제인 고령화와 인력 부족에 대응하는 현장형 AI 전략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툴에서 AI 기반 업무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라인웍스와 복지 행정에 AI를 접목한 케어콜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소개했다.
라인웍스는 일본에서 처음 출시된 이후, 현장 친화적 기능과 모바일 중심의 직관적인 UX, 빠른 피드백을 바탕으로 일본 업무용 메신저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산업 구조가 사무직보다 영업·점포 등 외근 인력이 많은 점에 주목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메시징 기반 올인원 앱으로 설계한 점이 성공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장조사기관 후지키메라에 따르면, 라인웍스는 2017년 이후 7년 연속 유료 업무용 메신저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점유율 41%를 기록해 업계 1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연 매출 또한 매년 약 40% 성장하며, 2025년 7월 기준 연간 반복 매출(ARR) 160억 엔을 돌파, SaaS 기반 비즈니스의 안정성과 성장성을 입증했다.
추후 라인웍스는 채팅, 이메일, 캘린더 등으로부터 일간보고 등 반복적이고 패턴화 된 업무를 AI가 자동 분석·처리하는 'AI 에이전트' 기능을 포함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AI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일하는 사람을 위한 AI 툴'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