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와 벨기에 교통부의 만남이 성사됐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와 벨기에 교통부의 만남이 성사됐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월요신문=편슬기 기자]벨기에 교통부 요청으로 카카오모빌리티 방문이 성사됐다. 이들은 카카오모빌리티 판교 사옥을 방문해 자율주행차를 시승하고 기술 비전에 대해 청취하는 등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다각도의 자율주행 기술 역량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5일 오후, 벨기에 교통부(교통·기후·생태전환부) 소속 '타냐 브라인세일스(Tanja Bruynseels)' 전략모빌리티국장이 판교 사옥을 방문해 자율주행 기술을 살펴봤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유럽연합(EU) 내 자율주행 분야 주도를 목표로, 카카오모빌리티의 사례 참조를 희망한 벨기에 측의 요청으로 성사됐다.

주한 벨기에 대사관은 "벨기에 정부 관계자의 이번 방문은 '자율주행차 개발 및 도입'이라는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과제에 있어 유럽연합(EU) 내 주도적인 역할을 희망하는 벨기에 정부의 의지에 따라 추진됐다"며 "벨기에가 기술 및 규제적 측면 모두에서 자율주행차 수용 준비를 갖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이날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가장 먼저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준비한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해 약 30분간 판교 일대 주행을 직접 체험했다. 

이후 실내로 장소를 옮겨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대 대비 현황 설명과, 지난해부터 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로 선정되어 활동한 경과에 대해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특히 세계적으로 몇몇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자율주행 상용화 흐름 속에서도, 자체 기술 역량의 수준을 높여가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전략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한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제도와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며, "카카오모빌리티가 이용자들의 패턴, 서비스 통계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는 점과 '관제', '운영', '자율주행 기술', '디지털 트윈' 등 여러 요소에서 두루 강점을 갖춘 점 역시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