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이 제보한 일본해 표기 이미지. 사진=서경덕 교수
네티즌이 제보한 일본해 표기 이미지. 사진=서경덕 교수

 

[월요신문=이상훈 기자]세계 최대 검색사이트 구글이 국내 일부 지역 날씨 서비스에서 일본해 표기를 동해보다 앞세워 논란이 되고 있다.

다수의 네티즌이 구글이 일본해로 표기한 사실을 발견, 이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에게 제보했다. 

통상적으로 구글은 국가별로 이견이 있는 명칭에 대해선 사용자가 접속한 국가의 표기법을 따르도록 자체 규정을 두고 있다. 때문에 동해의 경우 한국에서 구글 지도를 사용할 경우에는 '동해'로, 일본에서 접속할 땐 '일본해'로 표기가 돼야 하는데 이번 표기는 자체 관례도 어긴 상황이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최근 휴가철을 맞아 동해안 지역으로 휴가를 떠난 많은 누리꾼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면서 "분명 국내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구글 날씨 알림 서비스에서는 '일본해(동해)'로 버젓이 표기를 하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서 교수는 "구글이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라면 해당 국가의 기본적인 정서는 제대로 파악을 할 줄 알아야 하는데 이를 무시한 처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구글의 이 같은 '실수'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국내에서 민감한 독도의 경우, 역사적으로도 우리나라 영토이며 현재도 실효지배를 하고 있지만 일본이 지속적으로 자국 영토라고 강조하며 분쟁지역화 하고 있다. 

구글의 규정대로라면 국내에서 '독도'로 표기돼야 하는데 과거 구글 지도에서 '독도'를 검색해도 아무런 내용이 뜨지 않아 논란이 된 바 있다. 현재 한국과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독도'를 검색하면 '리앙쿠르 암초(Liancourt Rocks)'로 표기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