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 조경 구상도. 사진=대우건설
대우건설이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 조경 구상도. 사진=대우건설

[월요신문=김윤겸 기자]대우건설은 개포우성7차에 제안한 '써밋 프라니티'를 개포의 세대 교체를 주도하는 랜드마크로 만들기 위해 조경 특화 설계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12일 전했다.

써밋 프라니티의 조경 설계는 루브르 박물관, 엘리제궁, 루이비통 본사 등을 설계한 프랑스 건축가 장 미쉘 빌모트와 VIRON(바이런)이 공동 작업했다. VIRON의 디자인 디렉터인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는 '서울특별시 조경상 우수상',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작가정원', 'IDEA Design Award 본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김 교수는 '대지에 새겨진 자연의 결이 도시와 호흡하다'를 콘셉트로, 지상 구조물을 최소화하고 필로티 높이를 높여 단지 전체를 공원처럼 조성하는 설계를 제안했다.

써밋 프라니티는 AI를 활용해 예술과 미디어를 결합하고, 입주민이 예술 작품에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조경 시설 중 하나인 '인터랙티브 AI 아트존'은 사람의 행동, 소리, 터치 등의 움직임을 인식해 매번 다른 미디어 아트를 구현한다. 이러한 방식은 입주민에게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 AI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색다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써밋 프라니티의 아트 플레이 그라운드. 사진=대우건설
써밋 프라니티의 아트 플레이 그라운드. 사진=대우건설

아트 플레이그라운드(Art Playground)는 아이들의 상상력을 반영한 놀이 공간으로, 사자 형태의 조형물이 배치된다. 이 조형물은 단지 인근의 명문 사학 중동고등학교의 상징 동물을 모티브로 했으며, 중동고 방향을 향해 배치돼 아이들이 미래에 대한 희망과 꿈을 키워나가는 공간이 되도록 했다.

워터폴 가든(Waterfall Garden)은 선큰 공간을 활용한 중앙 정원으로, 레스토랑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벽면을 따라 흐르는 벽천을 중심으로 조성된 수경시설은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휴식과 경관 요소를 함께 고려한 공간으로 설계됐다.

써밋 프라니티의 조경 특화 요소 중 하나인 시크릿 필로티 가든(Secret Piloti Garden)도 주목된다. 모든 동의 필로티 하부에 조성되는 이 공간은 프라이빗 가든, 프라이빗 아웃도어 짐, 웰컴 가든 등으로 구성된다. 프라이빗 가든은 돌의 정원, 숲의 정원, 물의 정원 등 3가지 테마로 구성되며, 해당 동 거주민에게만 개방돼 사적인 휴식을 제공한다. 아웃도어 짐은 반 실내형 운동 공간으로 프라이버시와 개방감을 함께 고려했으며, 웰컴 가든은 출입구 전면에 위치해 단지와 자연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에서 수상한 역량을 바탕으로 조경 설계를 차별화했다"며 "지상의 모든 공간을 공원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고려한 생활 환경을 구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