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K-AI 기업 NC AI가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이 주관하는 '2025년 K-콘텐츠 AI 혁신 선도 프로젝트'의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부담 포함 총 100억원 규모로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 중 단일과제 예산으로는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2025년 K-콘텐츠 AI 혁신 선도 프로젝트'는 K-콘텐츠의 세계적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AI 기반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창작, 생산, 유통 전 과정에 혁신을 도입하는 정부 지원 프로젝트다. 한국형 미디어 AI 기술의 글로벌 표준 확보와 팬덤 중심 생태계 구축, 버추얼 아티스트 IP 및 OSMU(One Source Multi Use) 패키지 개발 등이 골자다. 총 100억원 예산에서 기획부터 제작, 글로벌 확산 단계에 필요한 모든 R&D와 기술 상용화를 지원한다.
NC AI는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각 분야 최고 전문기업들과 'K-콘텐츠 AI 얼라이언스'를 구성했다. ▲이매지너스(디즈니플러스 '북극성' 제작사) ▲YN CULTURE&SPACE(문화공간 개발 및 엔터 테크 전문사) ▲스튜디오 이온(AI·언리얼 전문 3D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오아시스 스튜디오(클라우드 기반 VFX) ▲몽규(글로벌 플랫폼 개발) 등과 협력하여 기획-제작-확산 전주기에 걸친 혁신을 추진한다.
NC AI가 이번 대형 국가과제의 주관사로 선정될 수 있었던 주요한 요인은 국가대표로 선정된 독보적인 미디어 AI 기술 역량이다. NC AI가 처음부터 고품질 사전학습 데이터를 활용해 자체 구축한 파운데이션 모델 바르코 LLM은 물론, 바르코 아트패션, 사운드, 3D 등 다양한 NC AI의 멀티모달 기술이 총 집결했다.
바르코 아트패션은 F&F, 신세계인터내셔날, 커뮤니케이션앤컬쳐 등 국내 유명 패션기업과 협력해 버추얼 아티스트의 의상 및 인물 적용 AI를 구현한다. 국내 유명 패션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패션 분야 버티컬 AI의 가능성을 입증한 바르코 아트 패션은 패션 산업에 특화된 생성형 AI 모델로 버추얼 아티스트의 의상 생성 및 인물 적용이 가능하다.
바르코 보이스는 TTS와 보이스 컨버전 기술을 통해 K-POP 아이돌 목소리를 생성하고 다양한 음색으로 변환해 음원 제작에 직접 활용할 예정이다.
바르코 3D 기술은 텍스트나 이미지로부터 고품질의 3D 캐릭터·소품을 자동 생성해 다양한 형식의 가상 아바타와 뮤직비디오용 에셋을 빠르게 제작한다. 최신 바르코 비전 2.0은 이미지·텍스트 동시 이해, 멀티 이미지 분석, 고도화된 문서 처리 등 산업 현장 적용 확장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NC AI는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K-POP 제작 포맷을 개발하고, 버추얼 아티스트 IP 패키지 개발과 팬덤 참여형 AI 생태계 구축을 실현할 계획이다. 특히 선제적 OSMU(One Source Multi Use) 모델을 통해 콘텐츠 기획 단계부터 게임, MD, 가상 공연 등 각 확장 사업 분야에 최적화된 통합 에셋을 제작해 시장 반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다.
NC AI는 이번 성공 사례에 그치지 않고, 개발한 포맷 자체를 글로벌 표준으로 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각국의 역사적 유산에 동일한 포맷을 적용하여 현지화된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업 모델을 통해, 콘텐츠 제공자를 넘어 차세대 콘텐츠 제작 솔루션을 공급하는 글로벌 기술·플랫폼 기업으로 발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총괄한 NC AI 김민재 CTO는 "단순히 AI 기술을 콘텐츠에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한국의 문화유산과 최첨단 AI 기술이 만나 전 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콘텐츠를 창조하는 혁신적 시도로 K-콘텐츠가 전 세계 문화산업을 선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NC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 선정에 이어 이번 K-콘텐츠 AI 혁신 선도 프로젝트까지 연이어 대형 국가사업을 수주하며 국내 대표 AI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 월요신문=이상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