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차세대 친환경 선박으로 주목받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선박'과 '수소연료전지 추진 선박'의 상용화를 위해 기술 실증과 제도 기반 확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국내 어선의 96% 이상은 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로 건조된다. 하지만 FRP는 건조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고 폐선 시 재활용이 불가능해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면 HDPE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공단은 HDPE 선박 건조 시 용접부 품질 확보를 위해 HDPE 선박 건조 용접사의 기량 평가와 자격 인증 체계를 마련했다. 현재까지 9차례 교육 과정을 통해 101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했다.
여기에 공단은 HDPE 선박 건조 기술력도 갖추고 있다. 최근 부산에서 열린 국내 최초 공단의 HDPE 시제어선 '카이브 3호' 승선 체험 행사에는 경남지역 어업인, 조선소, 선박설계 사업자 등 30여 명이 참여해 큰 관심을 보였다. 긍정적 반응 속에 친환경 어선 실용화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다만 본격적인 상용화를 위해서는 제도적 뒷받침과 정부 지원 등 넘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전남은 '친환경 HDPE 소형어선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통해 국내 HDPE 어선 건조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공단은 해당 과제에 참여해 시제선 건조와 성능 시험을 주관하며 알루미늄·FRP 선박과의 비교 평가, 잠정 구조기준 마련, 용접 자격체계 구축 등 실용화를 위한 핵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선박 상용화의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조선 인력 양성과 지역 일자리 확대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
HDPE 선질의 상용화를 위해 공단은 지난 2024년 8월 HDPE 선박에 대한 잠정(임시) 구조기준을 개발해 해수부의 승인을 받았다. 현재 이 잠정기준을 기반으로 설계 및 건조 중인 시제선 6척의 건조 및 해상 실증을 2026년 상반기에 완료했다. 이어 실증결과를 반영한 잠정기준 수정 보완을 거쳐 하반기에 구조기준을 확정할 계획이다.
상용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이외에도 현장에서는 선주 및 어업인들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 FRP와 알루미늄 어선 보급 때와 같은 친환경 선질 대체 건조의 재정적 지원책 마련의 필요성도 요구되고 있다.
선박 연료 측면에서도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 공단은 2024년 말 '서남권 스마트선박안전지원센터'에 선박 전기추진시스템 시험장비를 구축해 올해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24대의 전기추진 장치 검사를 마쳤고 민간 시험 대비 약 2800만원의 비용 절감 효과와 함께 검사 기간 단축에 따른 납기 안정성 향상 성과를 거뒀다.
특히 전남 영암의 조선사 '빈센'과 협력해 3MW급 예인선용 배터리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선박은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와 대용량 배터리를 결합해 추진력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또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배출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 회사에서 제작하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추진 선박은 국내 최초로 지난 2023년 제정된 선박안전법 아래 '선박 수소연료전지 설비 잠정기준'으로 검사를 받아 운항하게 될 예정이다. 현재 공단은 해당 선박의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공단은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 상용화와 건조 확대를 위해 관련 업계의 의견수렴과 기술회의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현실을 반영한 개정 사항을 포함한 건조 기준이 단기간 내에 확정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에 대한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하고 있다. / 월요신문=김윤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