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오후 전남 신안군 해상 무인도 여객선 좌초 사고와 관련, 해경과 국과수 합동감식반이 이튿날인 20일 오후 사고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를 조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9일 오후 전남 신안군 해상 무인도 여객선 좌초 사고와 관련, 해경과 국과수 합동감식반이 이튿날인 20일 오후 사고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를 조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세월호 유가족과 시민단체가 전남 신안군 해상 무인도 인근에서 발생한 여객선 좌초 사고와 관련해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 여전히 제도와 현장에서 구현되지 않고 있음을 드러낸 사건”이라며 '해양 안전 체계의 전면 개혁'을 촉구했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4·16연대)는 21일 성명을 내고 “퀸제누비아2호 좌초 사고는 단순한 해양 사고가 아니라 세월호 참사의 교훈이 제도화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드러낸 사고”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 11년이 지났음에도 선원의 인적 오류, 관제 실패, 위험 해역 관리 부재, 승객 대피 지연 등 구조적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세월호 참사가 남긴 교육·관리 강화, 관제·지휘 체계의 책임성 확보, 위험 해역 관리 강화, 신속한 대피 안내 체계 구축, 국가의 생명 보호 의무 강화 등의 교훈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고는 이러한 교훈이 제도적으로나 현장에서 충분히 구현되지 않았음을 명확히 보여준다”면서 “정부와 관계 기관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해양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혁하고, 세월호 참사가 남긴 약속을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정부와 해양경찰에 ▲독립적·철저한 책임 조사 실시 ▲관제·경보 체계 구조적 개혁 ▲재난 대응 및 피해자 지원 체계 보강 등을 요구했다.

한편 지난 19일 오후 8시17분께 승객과 승무원 등 267명이 탄 2만6546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는 신안군 장산면 인근 무인도인 족도에 좌초됐다. 승객 246명과 승무원 21명 전원은 해경에 의해 구조돼 육지로 이송됐으며, 임신부를 포함한 30명이 크고 작은 부상으로 병원 치료를 받았다.

사고 조사 중인 목포해양경찰서는 사고 당시 휴대전화를 보며 자동항법장치로 운항한 혐의를 받는 일등항해사 등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할 예정이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