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택시 10주년 혁신 성과를 공개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택시 10주년 혁신 성과를 공개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월요신문=편슬기 기자]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호출 서비스가 10주년을 맞았다. 택시 배차는 평균 67% 단축, 탑승 성공률은 94%까지 높아지면서 명실상부한 국민 택시 호출 서비스로 자리잡은 모습이다.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작 10주년을 맞아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카카오 T'를 통해 택시 이용 패러다임을 혁신해 온 성과를 7일 공개했다.

카카오 T 앱 내 축적된 데이터 분석 결과, 카카오 T 택시 호출 후 평균적으로 택시 배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출시 초인 10년 전과 비교해 약 67% 단축됐고, 탑승 성공률은 94%까지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배차 시간 6.6초, 10명 중 9.4명은 탑승 성공


카카오 T 택시는 2015년 서비스 출범 이후 기술 고도화와 이용자 중심 서비스 개선을 통해 '길에서 잡는 택시'에서 '원하는 곳으로 부르면 오는 택시'로 이동의 패러다임을 전환했다.

특히 택시 호출 서비스의 핵심 경쟁력인 '배차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카카오 T 택시의 호출-배차-탑승 과정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했다.

실제로 카카오 T 택시의 평균 배차 소요 시간은 올해 상반기 기준 6.6초로 2015년 19.87초에서 약 67% 단축된 성과를 보였고, 이를 통해 승객 편의는 높이면서 택시기사들의 영업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었다.

또한, 택시 호출을 시도한 승객이 실제로 탑승해 운행을 완료한 비율을 나타내는 '탑승 성공률'도 꾸준히 상승했다.

2025년 5월 기준, 카카오 T 택시의 탑승 성공률은 2015년 77%에서 17%p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승차거부 없이 단거리·비선호 지역도 자동배차하는 가맹택시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019년 가맹택시 '카카오 T 블루'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승차거부 없는 고품질 택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특히 목적지를 표시하지 않는 자동배차 시스템을 기반으로, 단거리 이동 수요는 물론 기존에 운행이 선호되지 않았던 지역으로의 이동 수요까지도 효율적으로 해소했다는 평이다.

실제로 카카오 T 택시의 가맹택시 전용 호출인 블루파트너스 호출의 2024년 기준 5km 이내 단거리 평균 배차 성공률은 전체 택시 호출의 평균보다 1.2배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승객을 목적지에 내려주고 되돌아올 때는 빈 차로 운행해야 해서 기피되던, 이른바 '비선호 지역'에 해당하는 파주(2.1배), 김포(1.9배), 강화군(1.5배), 하남(1.3배) 등에서도 가맹택시는 전체 택시 호출 대비 높은 배차 성공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택시 이용 경험 완성하는 '자동결제' 이용률 74% 돌파


카카오모빌리티는 2018년 10월 '자동결제' 기능을 도입해 탑승부터 하차 후 결제까지를 원스톱으로 제공해 오고 있다. 해당 기능은 카드·현금 결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줄이며 출시 당시부터 승객과 택시기사 모두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승객과 택시기사 간 직접적인 접촉이 어려웠던 코로나19 시기에 적합한 결제방식으로 꼽히면서 서비스 이용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를 입증하듯 카카오 T 택시에서 운행 완료된 건 중 자동결제 이용률은 2018년 8%에서 2025년 74%까지 증가하며 현재 대표적인 택시 운임 결제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이용의 편리함으로 인해 '자동결제 이용률'은 출시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감소하지 않고 계속해서 늘고 있는 추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