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부시장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 중부시장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뉴시스

[월요신문=박윤미 기자]오는 22일부터 농촌 주민과 군 장병의 소비쿠폰 활용 범위가 크게 넓어진다.

행정안전부는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범정부 태스크포스(TF)'에서 하나로마트와 로컬푸드직매장을 소비쿠폰 사용처에 대폭 추가하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읍·면 지역 하나로마트 658곳과 로컬푸드직매장 230곳을 새롭게 포함했다. 인구 감소와 상권 침체로 소비 환경이 열악한 읍 지역 하나로마트 4곳도 예외적으로 추가됐다.

이로써 전국에서 소비쿠폰을 쓸 수 있는 하나로마트는 총 779곳으로 늘어났으며, 로컬푸드직매장은 기존 22곳에서 252곳으로 확대됐다.

로컬푸드직매장은 지역 농산물을 생산자가 직접 판매하는 매장으로, 이번에 소비쿠폰 사용처에 포함됨에 따라 농민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새롭게 추가된 매장은 오는 22일부터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매장 목록은 행안부와 농협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군 장병들도 다음 달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 지급분부터는 복무지 인근 상권에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주민등록상 주소지에서만 사용이 가능했으며, 예외적으로 나라사랑카드에 한해 전국 군마트(PX)에서만 쓸 수 있었다. 그러나 짧은 외출·외박으로는 쿠폰 사용이 사실상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정부는 군 장병이 복무지 주민센터에서 소비쿠폰을 신청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내 사용처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를 지급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이 조치는 2차 지급 개시일인 다음 달 22일부터 오는 10월 31일까지 적용된다.

정부 관계자는 "소비쿠폰 사용처 확대는 농촌 주민과 군 장병의 실질적 편익을 높이는 동시에 지역 상권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현장 의견을 반영해 제도를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