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침체된 한국 영화 산업 회복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의 지원책을 내놨다.
문체부는 5일 내년 영화 분야 예산 정부안이 총 1498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보다 669억 원(80.8%) 늘어난 수준으로, 코로나19 긴급 지원이 있었던 2022년을 제외하면 역대 최대 규모다.
극장 관객 회복 지연으로 장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영화계가 요구해 온 긴급 지원 필요성이 반영됐다.
최휘영 장관은 전날 간담회에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며 "긴급대책이 없다면 영화 산업 붕괴가 수년 내 현실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세부적으로는 영화 기획개발 지원에 80억 원, 중예산 영화 제작지원에 200억 원을 배정했다. 독립·예술영화 상영 지원사업도 신설돼 18억 원이 투입되며, 국내외 영화제 육성 지원은 48억 원으로 확대됐다.
또한 모태펀드 영화계정 출자를 전년 대비 두 배인 700억 원으로 늘려, 총 14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투자 활성화를 이끌 계획이다.
첨단 기술 접목도 강화한다. AI 기반 영화제작에는 22억 원, 부산 기장촬영소 내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구축에는 164억 원이 투입된다.
정상원 문체부 콘텐츠정책국장은 “뛰어난 역량과 창의력으로 성장해 온 한국 영화산업이 조속히 회복돼 K-콘텐츠의 미래를 다시 선도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