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다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이 7일 만에 귀국길에 올랐다.
외교부는 “미국 조지아주 폭스턴 이민세관당국 구금시설에 구금되어 있던 우리 국민들이 현지시간 11일 오전 2시18분께 해당 시설에서 출발해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이동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총 316명의 우리 국민은 공항에 도착한 뒤 전세기에 탑승하며 전세기는 정오께 이륙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단속으로 구금된 한국인은 총 317명으로, 이 중 영주권 신청자 1명을 제외한 전원이 무사히 귀국한다. 미국에 남는 1명은 현지에 거주하는 가족이 영주권자라 잔류를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우리 기업 소속 일본인 3명, 중국인 10명, 인도네시아인 1명 등 외국 국적 직원 14명도 같은 전세기에 함께 오른다. 귀국 전세기는 12일 오후 4시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당초 구금자들은 10일 출발할 예정이었으나, 미국 측 사정을 이유로 일정이 연기됐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숙련된 인력이므로 미국에 남겨야 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내린 사실이 확인되면서 귀국 절차가 잠시 중단됐다. 다만 한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구금자들을 수갑 등 신체적 구속 없이 이동시킬 것을 지시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사태 해결을 위해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직접 미국으로 건너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가졌고, 박윤주 제1차관도 현지로 급파돼 신속대응팀을 보강했다. 외교부 장·차관이 동시에 파견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외교부는 “우리 국민 전원이 무사히 한국에 도착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