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행정안전부가 2026년도 지역 맞춤형 재난안전 연구개발(R&D) 과제 6건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3년간 국비 96억원과 지방비 24억원 등 총 120억원을 투입한다고 18일 밝혔다.
경기도는 싱크홀 등 지반침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측 한계를 보완한 인공지능(AI) 기반 위험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지반 탐사 범위를 최적화하고, 도로 유지보수 효율을 높여 취약 지역과 도심 간 안전관리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는 충전소와 대형 배터리 밀집 사업장 등 고위험 환경을 겨냥해 외부환경 분석이 가능한 융합감지 멀티 센서, AI 기반 조기경보 시스템, 화재 배터리 자동 분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충남은 축사 화재 감지 및 대응 시스템, 전남은 여객선 사고 시 대피경로 지원 시스템, 전북은 침수 대응 체계 통합관리 시스템, 경북은 자동 산불 대응 살수 로봇 개발에 나선다.
행안부는 올해 말까지 세부 연구 계획을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 사업 수행기관을 공모할 예정이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연구개발로 재난 대응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지자체의 대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