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대표이사 김영섭)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개발한 GPT-4o 기반 한국적 AI 모델 ‘SOTA K built on GPT-4o(이하 SOTA K)’를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글로벌 최고 수준 성능의 GPT-4o에 한국어와 한국 사회·문화적 맥락을 정교하게 접목한 협업형 모델로 국내 AI 생태계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대형 언어모델(LLM)은 영어권 중심 데이터로 학습돼 한국어와 한국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맥락 반영에 한계가 있었다. KT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품질 한국 특화 데이터를 대규모로 확보하고,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을 통해 GPT-4o를 한국 사회에 최적화된 모델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서 KT의 데이터 품질 관리, 모델 학습 기술, 모델 평가 및 Responsible AI 역량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글로벌 기술력이 시너지를 냈다.
SOTA K는 한국적 AI의 4대 핵심 철학인 ▲데이터 주권 보호(Data Sovereignty) ▲한국 문화 이해(Cultural Relevance) ▲모델 선택권 보장(Two Track Model Strategy: 독자모델과 협력·오픈모델) ▲안전하고 책임감 있는 AI(Reliable & Responsible)를 모두 구현한 모델이다. 한국어 경어법·방언은 물론 법률·금융·역사 등 국내 특정 산업군 내에서 사용하는 전문 용어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어 한국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실용성을 크게 높였다.
KT는 한국적 AI 지표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자체 데이터셋을 구축해 정량 평가와 정성 평가를 진행했다. SOTA K는 한국어 이해, 생성, 추론, 사회·문화, 한국 전문지식 등 주요 지표에서 GPT-4o 대비 우위를 보였다.
특히 한국사, 한국어, 한국 법령 등 고난이도 한국적 지식을 요구하는 대한민국 공무원 시험과 귀화 시험에서 GPT-4o 모델을 능가하는 성과를 거둬, 한국 사회와 문화에 특화된 AI로서의 실용성을 입증했다.
KT는 SOTA K를 물리적으로 대한민국 내 존재하는 클라우드 리전에서 운영하며 자체 개발한 벡터 모델 기반 한국적 검색증강생성(RAG) 기술과 결합해 기업별 맞춤형 지식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도 제공한다. 이에 고객사는 고유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정확하고 특화된 AI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KT는 우선 자사 B2C 사업에 SOTA K를 적용해 자체 및 협업 모델 라인업을 검증한 뒤 파트너사에 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의 안정적 성장과 건전한 발전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 월요신문=편슬기 기자
- KT, 추석 명절 앞두고 '협력사 납품대금' 조기 지급
- kt 밀리의서재 X kt 지니뮤직, 국카스텐 낭독 오디오북 선봬
- 아이폰 메시지 규격 통일…통신3사, 아이폰 'RCS 메시지' 시대 연다
- KT, '2025 수도권 생활 이동 데이터 해커톤' 성료
- 유니티 엔진에서 보안 취약점 발견...게임업계 '혼란'
- KT·팔란티어, 韓서 첫 CEO 회동 "국내 시장 진출 본격화"
- KT, 디즈니+ 손잡았다…'지니 TV 디즈니+' 출시
- KT, 소액결제 피해 데이터 '1억5000만건' 전수 조사
- "광화문을 AX 거점으로" KT, MS와 'KT 이노베이션 허브' 개소
- KT, UAM 실증사업자 선정…"도심항공교통 상용 박차"
- KT, K-UAM 2단계 실증 완료…핵심 인프라 안정성 입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