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마라톤 대회 참가 인원이 100만명을 넘어섰지만, 정부의 안전관리 체계는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박정하 국민의힘 의원이 경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열린 마라톤 대회는 총 254회, 참가 인원은 100만8122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이후 중단됐던 대회가 급속히 회복세를 보이면서 참가 규모도 폭발적으로 늘었다.
2020년 19건에 불과하던 마라톤 대회는 2021년 49회, 2022년 142회, 2023년에는 205회로 급증했다. 참가자 수도 2020년 9030명에서 2021년 3만0611명, 2022년 32만9482명, 2023년 73만7681명으로 꾸준히 늘어나며 국민 생활체육으로 자리 잡았다.
문제는 안전관리다. 2020년부터 올해 9월까지 열린 마라톤 대회 가운데 1000명 이상이 참가한 대회는 507회로 전체의 63%를 차지했으며, 같은 기간 사고는 179건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 사고는 72건으로 역대 최다였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는 대규모 마라톤 대회의 안전관리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체부는 박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에서 “1000명 이상 체육행사의 경우 주최자의 안전관리계획 수립이 의무화됐으나, 제출 의무는 규정되지 않아 관련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며 “안전조치 미이행 역시 적발이 가능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10·29 이태원 참사 이후 개정된 국민체육진흥법은 1000명 이상 참가하는 체육행사 주최자에게 안전관리계획 수립을 의무화했지만, 계획 제출 의무나 제재 규정이 없어 실질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박 의원은 “마라톤 대회가 국민 생활체육으로 확산하는 만큼 체계적인 안전관리는 필수적”이라며 “문체부가 주무 부처로서 사후 수습이 아닌 사전 관리에 능동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