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 사진=뉴시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 사진=뉴시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정부가 지급한 신용·체크카드 기반 소비쿠폰의 비수도권 사용률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 기준을 오는 9월 초 발표하고, 9월 22일부터 본격 지급할 계획이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 자정까지 지급된 소비쿠폰의 전체 사용률은 51.9%로 집계됐다.

사용률이 높은 지역은 ▲제주 57.18% ▲인천 54.71% ▲광주 54.55% ▲충북 54.14% ▲대전 54.02% 순이었다. 인천을 제외하면 대부분 비수도권 지역이 상위권에 포함돼 지역별 소비 활성화 양상이 드러났다.

정부는 이와 별도로, 소득 하위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추가 지급하는 2차 소비쿠폰의 지급 기준을 9월 10일 전후로 발표할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함께 기준을 짜고, 2차 지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9월 10일 즈음 지급 기준을 발표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특히 고액 자산가임에도 건강보험료를 적게 납부하는 일부 직장가입자를 선별할 수 있도록 기준을 보완할 계획이다.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 대해서도 건보료 기준의 특례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지난 2021년 코로나19 국민지원금 지급 때 1인 가구에 특례가 있었는데, 이번에 그 특례를 둘 건지 작업을 다시 하려고 한다"며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하는 부동산, 금융소득 기준도 국세청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다다음주 정도에 논의를 시작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또한, 농어촌과 도서산간 지역에서 소비쿠폰 사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에 따라 사용처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면 단위 지역 중 유사 업종이 없는 곳에 한해 예외적으로 허용된 농협 하나로마트 사용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소비 여건이 열악한 도서산간 지역은 빠른 시일 내에 하나로마트를 소비쿠폰 사용처로 추가하겠다"며 "시장·군수 등의 의견을 수렴 중이며, 이를 최대한 반영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