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김나연 기자]대웅제약과 대웅테라퓨틱스는 자체 개발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초기 약물 흡수 실험에서 주사제 대비 생체이용률이 80% 이상에 달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대웅테라퓨틱스가 자체 개발한 약물 전달 기술 플랫폼 클로팜(CLOPAM)을 적용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에 대한 글로벌 최초의 인체 적용 결과다. 세마글루타이드 피하주사 제형과 비교해 약물 전달 효율을 확인했다.
연구는 성인 70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해 체내에 흡수된 약물의 혈중 농도를 측정한 뒤, 같은 조건에서 기존 비만치료제인 피하주사를 투여했을 때의 혈중 농도를 측정해 두 약물 간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주사제 대비 80% 이상의 생체이용률을 나타냈다. 즉, 피하주사 제형의 약물 흡수율을 100%로 보았을 때,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약물은 80% 이상이 효과적으로 체내에 흡수된 것이다. 동일 성분의 기존 패치들이 약 30% 수준을 보였던 것과 비교해 최고 수준의 농도로,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와 비교했을 때는 약 160배 높은 수준이다.
또 혈중 농도가 1주일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고용량을 단일 패치에 담아 주 1회 투여가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할 가능성도 확인됐다.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경구제는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고 공복 복용, 물 섭취 제한, 만성질환자는 다른 약과의 동시 복용 불가 등 까다로운 복용법 때문에 복약 순응도에는 한계가 있다. 반면 패치제는 주 1회 투여로도 약물 전달하며, 주사 공포나 일상 복약 제약이 큰 소아·청소년 및 고령 환자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웅테라퓨틱스가 특허받은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클로팜(CLOPAM)'은 바늘이 피부에 닿은 뒤 녹으며 약물을 방출하는 용해성 타입의 패치를 약물 전달에 최적화된 구조로 제조하는 차세대 제조 기술이다. 실온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해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의료 폐기물과 플라스틱 배출을 크게 줄여 지속가능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기반의 차세대 치료 옵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클로팜은 국내외 총 52건의 특허를 출원하며 미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웅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파트너사들과의 기술이전 및 공동 개발, 라이선스 아웃 등 다양한 모델을 통해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과 상업화 논의를 추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