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가장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리멤버
리멤버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가장 우선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리멤버

[월요신문=편슬기 기자]흔히들 '연봉'이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점점 시대가 변화하는 추세다. 최근 장기적 커리어 성장을 고민하며 이직을 준비하는 이들이 많아지는 흐름 포착된다.

'리멤버'를 운영하는 리멤버앤컴퍼니(이하 리멤버)가 자사 '리멤버 리서치'를 통해 직장인 1만6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력 이직 인식 조사'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리멤버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3.8%가 이직할 회사를 선택할 때 '커리어 성장 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고 답했다. 이는 '연봉 인상률(20.7%)'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연봉이 직장인들의 이직 최우선 요소라는 기존의 많은 설문조사 결과를 뒤집는 유의미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리멤버 리서치'에서 직장인 필수앱 '리멤버'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대한민국 직장인 인식 기초 조사의 일환이다.

500만 직장인 회원의 최신 비즈니스 프로필을 기반으로 정확도 높은 타게팅 설문조사가 가능한 '리멤버 리서치'가, 급변하는 경제∙고용 환경 속에서 직장인들의 커리어 인식과 현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진행했다.

특히, 해당 조사를 통해 직장인들의 커리어 설계를 위한 이직 기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업의 인재 유치 전략 수립에도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사에 따르면, 모든 직급에서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이직의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꼽았다. 다만, 사원·대리급 보다는 고연차로 갈수록 해당 응답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길어진 평균 수명과 '지속 가능한 커리어' 구축을 고민하는 시니어 직장인들이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리멤버 리서치는 분석했다.

최근 경기 침체와 AI 발 일자리 위협 등의 고용 불안도 한몫했다. 직장인들이 당장의 연봉 인상보다는 대체 불가능한 핵심역량 확보를 통해 장기적 생존을 위한 커리어 성장을 찾는 이른바 '생존 이직'을 준비하는 트렌드가 뚜렷해지고 있다. 여기에 일을 통한 성장과 만족을 추구하는 직장인들의 가치관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