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왼쪽 세 번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뉴시스
권대영(왼쪽 세 번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뉴시스

[월요신문=고서령 기자]금융당국과 금융권이 석유화학 구조조정을 돕고, 필요시 금융지원도 제공한다.

권 부위원장은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중회의실에서 '석유화학 사업재편 금융권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석유화학산업의 사업재편 방향 및 금융지원 원칙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권 부위원장은 "석유화학산업은 우리나라 산업경쟁력의 근간을 이루는 기간산업이지만 더는 수술을 미룰 수 없는 처지가 됐다"며 "모두가 참여하는 사업재편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웨덴 말뫼의 조선업체 코쿰스가 문을 닫으면서 대형 크레인을 1달러에 현대중공업에 넘긴 '말뫼의 눈물'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부위원장은 ▲철저한 자구노력 ▲고통 분담 ▲신속한 실행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금융권을 향해 "석유화학업계가 사업재편에 대한 공동의 의지를 밝힌 만큼 함께 힘써달라"며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될 때까지는 기존여신 회수 등 '비 올 때 우산을 뺏는 행동'은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우리는 최근에도 태영건설을 정리한 바 있는데 그 모델에 성공의 열쇠가 있다"면서 "지금은 얼어붙은 강을 건너는 때다. 함께 건너면 정부가 손을 잡아주겠지만 홀로 걸어가면 깨질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원칙은 선 자구 노력 후 채권단의 협조다. 유기적으로 실체 정연하게 진행돼야만 이 문제를 유능하고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권 부위원장은 석화업계에 쓴 소리도 전했다.

그는 "어제 산업부의 감축 방안 발표를 봤다. 포괄적인 감축 방안을 무려 한 1년간 지지부진했던 것을 하다가 어제야 매듭을 지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런데 석유화학 업계에서 상당한 볼멘소리가 들렸다. 물에 빠지려고 하는 사람을 구해주려고 하는데 보따리부터 먼저 내놓으라는 것 같다. 이런 안이한 인식에 정부로서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석유화학기업의 사업재편 계획 타당성이 인정되면 채권금융기관 공동 협약을 통해 지원할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