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뉴시스
서울 시내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기기 모습. 사진=뉴시스

올 상반기 은행권 부실채권이 앞서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 분기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특히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이 2020년 이후 처음으로 0.90%대를 기록하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정부 정책에 발맞춰 은행권이 중소기업 등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있어, 지속적인 부실채권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감독원이 5일 발표한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은행 부실채권이 16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5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던 1분기 말(16조600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상반기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0.59%로, 전 분기와 비슷했고, 전년 동기(0.53%) 대비 0.06% 포인트(2조2000억원) 늘었다.

부실채권 중 기업여신이 13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계여신(3조2000억원), 신용카드채권(3000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6월과 대비해 각각 기업여신 1조5000억원, 가계여신 6000억원, 신용카드 1000억원 증가했다.

올해 2분기 신규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6조4000억원 규모였다. 전 분기(6조원) 대비 4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4조5000억원) 대비 4000억원 늘었다. 대기업(4000억원) 신규부실은 전 분기 대비 1000억원 줄었지만, 중소기업 신규 부실(4조4000억원)이 5000억원 늘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72%로, 전 분기와 비슷했다. 대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04% 포인트 하락한 0.41%,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13% 포인트 상승한 0.90%를 기록했다. 특히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2020년 3월 말(0.93%) 이후 처음으로 0.90%대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여실 중 중소법인 부실채권비율은 0.03% 포인트 상승한 1.11%, 개인사업자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01% 포인트 하락한 0.59%로 나타났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32%로, 전 분기와 비슷했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0.23%) 이 0.01% 포인트 늘었고, 기타 신용대출 부실채권비율(0.61%)은 0.01% 포인트 줄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1.93%)은 0.08% 포인트 감소했다.

올 상반기 말 기준 대손충당금잔액은 27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말(28조4000억원) 대비 1조원 가량 줄었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적립률(165.5%)도 전 분기 말(170.5%)에 비해 5.0% 포인트 줄었다. 특히 전년 동기(188.0%) 대비 22.5% 포인트 감소했다. 대손충당금은 회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채권에 대비해 미리 적립해두는 금액이다.

2분기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6조5000억원으로 전 분기(4조5000억원)에 비해 2조원 늘었다. 전년 동기(5조4000억원) 대비 1조 넘게 증가했다. 상·매각(4조1000억원, 매각 2조5000억원, 대손상각 1조6000억원), 여신 정상화(1조1000억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1조원) 등이다.

금감원은 "상반기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잔액과 부실채권비율은 반기 말 연체정리 확대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 말 수준을 유지했다"며 "부실채권비율 상승세가 약화됐음에도 불구하고 대손충당금적립률은 하락했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여전히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신용위험 확대가능성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부실채권 관리와 대손충당금 적립 강화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금융권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은행 부실채권 증가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연일 은행권을 향해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포용·상생금융을 압박하고 있어 상당한 부담이 예상된다.

정부는 앞서 지난 3일 미국 관세위기에 대응해 2026년까지 우리 기업에 172조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는데, 5대 시중은행 등이 내년까지 중소 및 중견기업 등에 95조원을 지원해야 한다.

또 금융당국은 소상공인 대상 10조원 규모의 '특별지원 프로그램‘, '금리경감 3종 세트', '은행권 폐업지원 강화' 정책을 실시한다. 은행권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소상공인에 대해 총 3조3000원의 대출을 공급해야 한다. 또 은행권은 협약보증 등을 통해 올해 중 76조4000억원, 2026년 중 80조5000억원의 소상공인 자금공급을 추진한다.

정부가 은행권에 석유화학업계 금융지원 협력을 요청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정부는 지난달 공급 과잉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석화업계의 구조개편에 금융권이 적극 협력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은행업계는 향후 석화업계에 대출 공급, 금리인하, 여신 유지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월요신문=고서령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