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본사 전경. 사진=KT
KT 본사 전경. 사진=KT

KT의 소액결제 피해가 더욱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 고객은 362명,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으로 확대됐으며 불법 기지국 ID은 2개가 아닌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지난 11일 있었던 1차 발표 이후 이같은 내용의 추가 침해 정황을 확인했다고 18일 2차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혔다.

KT는 고객 문의(VOC) 기반 조사 결과 이후 6월부터 ARS 인증을 거친 소액결제건을 전수 조사했다고 전했다. 그 결과 교통카드 등의 결제를 통한 타 유형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추가로 드러났다. 불법 기지국 ID도 2개에서 4개인 것으로 추가 확인됐다.

이에 KT는 피해 고객의 수와 금액을 정정했다. 이번 KT 소액결제 피해에 따른 피해 고객 수는 362명이며 피해 금액은 2억4000여 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5일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하기 이전에 발생한 피해라는 설명이다.

또한 4개의 불법 기지국 ID를 통해 총 2만명이 신호를 수신했으며, 이로 인해 IMSI(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와 IMEI(단말기고유식별번호), 휴대폰 번호가 유출된 정황도 확인됐다.

다만 유심정보 중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아 복제폰 생성을 통한 피해 발생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KT는 피해 정황이 추가로 확인된 고객에게도 소액결제 금액을 고객이 부담하지 않도록 조치 중이다. 또한 무료 유심(USIM)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도 지원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울러 KT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국 2000여 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고객이 안심하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향후 휴대폰 통신기기 사용과 연계해 발생하는 금융 사기 피해를 보상하는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로 제공해 고객 보호를 한층 강화한다고 전했다. 

KT는 고객들에게 불편과 우려를 끼친 점에 대해 거듭 사과했다. 피해 고객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고도 했다.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재발 방지 대책과 제도 개선을 철저히 추진하며 고객 보호에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밝혔다. / 월요신문=편슬기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