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에 서드파티(제3자)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연동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한다. 이는 챗GPT가 단순한 AI 비서를 넘어 다양한 서비스의 통합 플랫폼으로 진화를 가속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오픈AI는 6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개발자 컨퍼런스 '데브데이 2025(DevDay 2025)'에서 이러한 앱 연동 기능을 공식 발표하며 이를 가능하게 할 '앱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함께 공개했다.
이번 SDK 공개로 부킹닷컴, 캔바, 피그마, 코세라, 익스피디아, 스포티파이, 질로우(미국 부동산 플랫폼) 등 주요 기업들이 파일럿 파트너사로 소개됐다. 이어 챗GPT 안에서 이들 서비스를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통합 사용 환경이 시연됐다.
이용자는 챗GPT에 '추천 음악 목록을 만들어줘'라고 요청하는 것만으로 스포티파이를 통해 즉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11월 21~24일 프랑스 파리 여행 중 성인 2명이 머물 호텔을 찾는데 주차 지원이 가능한 곳을 추천해줘'라는 요청 시에는 부킹닷컴으로 연결돼 원하는 숙소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카고로 왕복 항공편을 찾아줘'라고 명령하면 익스피디아와의 연동을 통해 예약 가능한 항공편 목록이 즉시 표시되며 해당 링크를 통해 결제까지 가능해진다.
오픈AI는 올해 안에 배달 서비스 '도어대시', 식당 예약 플랫폼 '오픈테이블', 쇼핑 앱 '타깃', 차량 공유 서비스 '우버', 여행 커뮤니티 '트립어드바이저' 등 11개 파트너사 애플리케이션과의 추가 연동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앱 생태계의 중심으로 향하는 오픈AI
오픈AI는 앱 SDK 도입을 통해 챗GPT를 중심으로 한 독자적인 앱 생태계 구축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 이는 구글·애플 등 특정 기업이 주도하는 기존 앱 마켓 구조나 구글·네이버 등 검색 기반 인터넷 접근 방식을 넘어 새로운 서비스 접점으로 자리잡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앞서 오픈AI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엣시(Etsy)'와 캐나다의 '쇼피파이(Shopify)'와 협력해 챗GPT 내에서 상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즉시 결제’ 기능을 선보인 바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챗GPT가 사람들의 생산성과 창의성을 높이고 더 빠르게 배우며 삶에서 하고자 하는 일을 더 잘 해낼 수 있도록 돕는 도구가 되길 바란다"며 "앱 SDK를 통해 상호작용적이고 개인화된 차세대 대화형 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챗GPT, 전 세계 주간 사용자 8억명 돌파
오픈AI는 이날 '데브데이 2025'에서 앱 생태계 확장을 위한 핵심 기능들을 공개했다. 그중 하나로 AI 에이전트를 구축·배포·최적화할 수 있는 개발 도구 '에이전트 키트(Agent Kit)'를 선보였다. 오픈AI는 일본의 '라인야후(LINE Yahoo)'가 이 에이전트 키트 내 '에이전트 빌더(Agent Builder)' 기능을 활용해 불과 2시간 만에 업무 보조용 에이전트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했다.
오픈AI는 이날 행사에서 영상 생성 AI 모델 '소라 2(Sora 2)'와 차세대 언어 모델 'GPT-5 프로(Pro)'를 개발자용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형태로 공개했다. 또 시범 운영 중이던 AI 코딩 에이전트 '코덱스(Codex)'를 정식 출시했다.
이와 함께 기존 대형 음성 모델 대비 사용료를 70% 낮춘 'GPT 리얼타임 미니(Realtime Mini)'와 이미지 생성 모델 'GPT 이미지 1 미니(Image 1 Mini)'를 새롭게 선보였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기조연설에서 "챗GPT의 주간 활성 사용자 수가 8억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한편 미 반도체 기업 AMD는 오픈AI와 AI 칩 공급을 위한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 월요신문=김윤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