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가 80개 K 브랜드를 앞세워 일본에서 연 '무신사 도쿄 팝업 스토어 2025'를 큰 호응 속 마무리했다.
28일 무신사에 따르면 지난 10월3~26일 24일간 도쿄 시부야에서 열린 무신사 팝업 스토어에는 모두 8만2000여명이 방문하며 북적였다. 평일에는 평균 3000여명, 주말에는 4000명 이상이 찾는 등 한국의 인기 패션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려는 일본 소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특히 지난 13일에는 하루 방문객이 5000명을 넘어서는 등 현장 열기가 뜨거웠다.
이번 팝업 스토어는 개장 전부터 시부야 주요 거점에 대형 디지털 전광판을 활용해 캠페인 영상을 선보이며 현지 이목을 집중시켰다. 무신사는 패션과 문화를 즐기는 Z세대 방문률이 높아 핵심 상권으로 꼽히는 시부야 스크램블 교차로에 5개의 사이니지 광고와 대로변을 가득 채운 포스터를 동시다발적으로 선보였다. 그 결과 사전 방문 예약자는 1만명을 넘어섰고 개장 첫날부터 긴 대기가 이어졌다.
이 같은 관심은 글로벌 스토어 성과로 나타났다. 팝업 기간 참여 브랜드 거래액은 전월 동기 대비 3.5배 이상 확대됐다. 온라인 포 오프라인(O4O) 전략을 활용, 온오프라인을 유기적으로 연결한 점이 주효했다고 무신사는 보고 있다. 오프라인 체험이 실제 구매로 전환돼 파트너 브랜드의 인지도와 거래액을 동시에 끌어 올린 결과다.
무신사는 "팝업 공간에서 브랜드를 접한 현지 고객이 글로벌 스토어로 이동해 상품 후기와 정보를 탐색하고 구매로 이어지도록 설계한 옴니채널 전략이 효과를 거둔 것"이라고 했다.
특히 ▲무센트 ▲아캄 ▲일리고 ▲크랭크 등 19개 브랜드는 현지 소비자의 높은 관심으로 행사 기간 억대 거래액을 거뒀다. 이번 팝업으로 일본 시장에 처음 진출한 13개 브랜드는 전월 동기 대비 거래액이 244% 상승할 정도로 성과가 두드러졌다. 특히 여성 패션 브랜드 '애즈온'은 거래액이 전월 대비 4배 이상 성장하며 성공적으로 일본 시장에 데뷔했다.
또한 '디깅 서울(Digging Seoul)'을 콘셉트로 선보인 팝업 스토어 전시와 온라인 기획전도 성과를 견인했다. 성수·명동·한남·홍대 등 서울 주요 핫스팟의 무드를 재해석한 전시 연출이 한국의 트렌디한 스타일링을 선호하는 일본 MZ세대의 호응을 얻으며 글로벌 스토어 방문으로 이어졌다.
무신사 관계자는 "올해 도쿄 팝업 스토어에는 현지 고객은 물론 백화점, 편집숍의 유통 바이어와 브랜드 담당자 등이 대거 방문해 일본 시장에서 K 패션에 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무신사 파트너 브랜드를 향한 일본 현지 관심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도록 온라인 스토어와 연계한 글로벌 활동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월요신문=이호영 기자
- 무신사, 서울경제진흥원과 '중소 뷰티' 판로 지원
- 무신사, 7년만에 로고·브랜드 아이덴티티 변경
- 스타벅스, W컨셉·무신사와 손잡고 고객 접점 넓힌다
- 무신사, 글로벌 스토어 日 3분기 거래액 전년比 2배
- 日 패션 이커머스 조조타운에 '무신사 숍'...'K 패션' 일본 진출 지원
- "초저가 전략 통했다"…무신사 스탠다드 뷰티, 출시 직후 완판 행진
- 매장 30호 넘긴 무신사 스탠다드..."핵심 상권 위주 성장 가속"
- 무신사, 12월 中 상하이 잇단 출점…"5년 내 100개 이상"
- 무신사, 코스맥스와 전략적 업무협약···"뷰티 자체 브랜드 제품 공동 개발"
- 무신사, 中 티몰에 온라인 플래그십 스토어 운영
- 무신사, 팬덤 상품 특화 'K 커넥트' 운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