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위탁 택배기사 약 1만명이 소속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가 3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 제안한 0시에서 새벽 5시까지의 ‘심야시간 배송 제한’ 방안에 공식적인 반대 입장을 밝혔다.
CPA는 이날 성명을 통해 “노동자의 해고는 '살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심야 배송 택배기사들을 사실상 해고하려고 한다”며 “심야 배송이 아니라 사회적 대화를 폐지해야 할 판”이라고 비판했다.
또 “진짜 택배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는지 의문이며, 심야배송 경험이 없는 일부 인원의 억지 주장을 그대로 받아쓴 '받아쓰기'”라며 “택배기사에 진정성있는 사과가 필요하다”고 했다.
CPA는 자체 설문 결과도 공개했는데, 새벽 배송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새벽배송 금지 반대’가 93%, ‘심야배송을 지속’하겠다는 응답이 95%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70%는 ‘야간배송이 규제되면 다른 야간 일자리를 찾겠다’고 답해, 기사들이 자유로운 선택으로 새벽 근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노총이 대안으로 제시한 오전 5시 출근(05~15시), 오후 3시 출근(15~24시) 이원 근무 체계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89%가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CPA는 “오전 5시 배송을 시작하면 출근시간에 차는 막히고 엘리베이터는 등교하는 아이, 출근 주민으로 가득 차 배송을 할 수 없는 기본적 현실을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쿠팡 직배송 기사 7000여명을 대변하는 쿠팡노조도 최근 성명을 통해 “새벽배송은 쿠팡의 핵심 경쟁력이며, 해당 시간대 배송이 중단되면 상당수 기사들이 일자리를 잃는다”고 밝혔다.
이어 “배송 물량이 주간으로 몰릴 경우 교통 혼잡과 민원 증가 등 사회적 혼란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최근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 ‘심야시간(0~5시) 배송 제한’을 정식 안건으로 제안한 바 있다. CPA와 쿠팡노조는 현장 실태 반영 및 일자리 영향 평가가 선행돼야 한다며 제안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