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10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인근 초고층 개발과 관련해 현장 점검에 나서는 것은 물론, 법과 제도 보완 착수를 지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오늘 종묘 방문과 함께, 이번 문제를 적절히 다룰 법과 제도보완 착수를 지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종묘가 수난이다. 서울시가 종묘 코앞에 초고층 개발을 하겠다고 한다"며 "민족적 자긍심이자 상징인 세계문화유산과 그 주변 개발을 둘러싼 논쟁은 개발론과 보존론의 대립은 아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도심 속 문화유산, 특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은 역사적 가치와 개발 필요성 사이의 지속가능한 조화를 찾아가는 문화적 개발이 필요하다”며 “종묘는 ‘동양의 파르테논’으로 불릴 정도의 장엄미와 도심 최고의 남산 조망을 갖춘 세계인의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존 계획보다 두 배 높게 짓겠다는 서울시의 발상은 세계유산특별법이 정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훼손할 우려가 있고 K-관광 부흥에도 역행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최근 논란이 끊이지 않는 서울시의 한강버스 사업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김 총리는 “시민 부담을 초래한 사례를 감안해 더 신중하고 겸허하게 국민적 우려를 경청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서울시의회 조례 개정안과 상위법(문화재보호법·현 문화유산법) 충돌 여부를 다룬 대법원 판결은 세계문화유산 인접 초고층 건축의 모든 쟁점을 포괄하지 않는다”며 “K-문화, K-관광, K-유산 관점에서 이번 사안을 풀기 위한 국민적 공론의 장을 열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 허민 국가유산청장, 김경민 서울대 도시계획학과 교수 등과 종묘 일대 현장 시찰에 나설 예정이다.
한편 김진애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도시계획 박사)은 4일 전 윤성은의 모닝엔터에 출연해 "(해당 지역의) 종묘가 얼마나 대단한 세계적 건축유산이냐. 세계적 건축가들이 극찬하는 곳이다"며 "그런데 종묘 뒤에 높은 건물이 서 있다고 생각해 봐라. 이건 서울 숲 같은 거다. 숲 주변에 초고층 아파트가 있지 않냐"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경주 APEC에서도 봤지만, 시간의 힘과 역사의 힘을 외국인들은 놀라워하지 않냐"며 "한국은 차만 잘 만들고 IT 강국이고 이 정도로 생각했을 텐데 우리의 역사를 보고 그들은 매우 놀랐다. 종묘 앞에 초고층 건물 짓는 것, 내버려 둘 수 없다. 이런 무지몽매한 사람을 서울시장 하게 내버려 두면 큰일난다"고 강조했다. / 월요신문=박윤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