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탁지훈 기자]정부가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하고 전세계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서기 위한 기반 구축에 나섰지만 아직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지난 1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1회 수소경제위원회에서는 3기 신도시 중 2곳 내외를 수소 도시로 추가 조성키로 한다고 발표했다.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660기 확충, 2040년까지 1000개의 수소 전문기업 육성 추진 목표도 밝혔다.

이에 이번 수소경제위원회의 출범에 거는 기대가 크다. 특히 수소가 기후위기 대응 및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에 가장 이상적인 에너지로 꼽히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각광받고 있다.

다만 수소 경제 사회 진입을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점이 있다.

국내에서 생산·유통되는 수소의 90%가 나프타 크래커(naphtha cracker)를 보유하고 있는 석유화학사가 책임지고 있다. 나프타 크래커를 보유한 LG화학, 롯데케미칼, SK종합화학, 한화솔루션 등은 충남 대산, 울산, 여수 등에서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수소경제'의 핵심이 도심 대기환경 개선이기에 수소의 생산거점이 수도권에서 멀다는 건 단점이다.

원유(crude oil) 도입 및 정제, 나프타 크래킹, 수소 정제 등 수소의 생산과정을 감안하면 고가의 유통 비용은 지나치게 높은 소비자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송에너지에 부과되는 높은 세금까지 수소 가격에 더해지면 가격 경쟁력에서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일부 잉여 수소는 석유제품을 생산하는 인근 정유사로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수소를 확보하는 일은 정부가 원하는 규모로 생산해 내는 게 간단하지 않다.

이로 인해 정부는 분야별 전문기업육성 및 지역별 확산여건, 글로벌밸류체인 확장 등 수소 생태계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수소산업 밸류 체인 전반의 경쟁력 향상, 지역 특화 산업 지원 및 글로벌 수소경제 대응을 위한 수소생태계 활성화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분야별 글로벌 선도기업 육성과 수소경제 참여기업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지역별 수소 공급계획과 함께 지역 특화 수소산업체계도 마련돼야 한다.

수소경제가 요란한 빈수레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가 수소를 확보하는 것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또한 수소경제의 핵심 플레이어인 석유화학사들과 적극적인 협업에 나서길 바란다.

키워드

#수소경제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