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흐름은 전기차라고 할 수 있다. 전기차의 단점이 급격히 사라지면서 매년 보급량이 기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내연기관차의 판매량이 줄어든다는 의미이므로 수명도 예상과 달리 크게 줄어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내연기관차와 각종 친환경차가 중첩되는 기간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모든 자동차 생태계가 준비할 수 있는 기간이 줄어드는 만큼 연착륙보다 경착륙의 가능성이 커진다. 그 만큼 산·학·연·관의 할 일이 더욱 많아졌다는 뜻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국내 정책측면에서 여러 자동차 규제가 이뤄지고 있지만, 모두가 전기차 같은 친환경차 보급에 올인하고 있는 측면이 강하다. 기존 내연기관차의 규제에는 오래된 디젤차 폐차 지원, 5등급 차량 도심지 진입 금지, 노후 디젤차 매연저감장치인 DPF 장착 의무화, 노후 디젤차에 대한 환경개선 부담금 강화 등이 전부다. 실질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내연기관차에 대한 직접적인 노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내연기관차에 대한 더욱 실질적인 노력이 없다면 향후 우리가 지향하는 2050 탄소제로 목표는 요원하다. 특히 전체 환경에 자동차가 미치는 비율은 20% 이상이 되는 만큼 가시적 노력이 요구된다.

산업적인 노력을 통한 이산화탄소 저하는 경제적 발전에 역행할 수 있는 요소가 커서 우리는 물론 각 선진국에서 시행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산업적인 효과는 투자 대비 효과라고 할 수 있는 가성비가 크게 떨어져 효과가 반감된다는 뜻이다. 다른 적극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자동차는 개인적으로 부동산 다음으로 가장 크게 재정적인 소모가 큰 만큼 그리 쉽게 바꿀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10년 주기로 비용을 모아서 고민을 거듭해야 구입할 수 있는 것이 자동차이다. 결국 운행 중인 내연기관차에서 배출되는 각종 배출가스를 제대로 제어해야만 환경보호라는 측면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우선 지난 2008년 도입돼 당시 적극적이었던 에코드라이브 즉 친환경 경제운전을 다시 되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당시에 환경부와 국토교통부가 '네 것, 내 것' 하면서 서로가 적극적으로 운동을 펴다가 냄비가 식듯 바로 분위기가 침체된 것으로 보면서 단기간의 효과만 생각하는 정책기조가 다시 반복된다는 생각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친환경 경제운전은 반복적으로 길게 생각하고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효과가 극대화되는 운동이다. 에코드라이브는 우리의 습관인 3급 운전을 줄이고 서로간의 배려와 양보가 주된 운전이라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연료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등을 줄이며, 교통사고도 감소시키는 1석 3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운동이다. 에코드라이브를 하면 개인적으로 적게는 20%, 많게는 50%의 연료를 절약하는 만큼 배기가스 등의 감소는 더욱 기대가 된다. 지금이라도 다시 한 번 국민적 홍보와 적극적인 캠페인 활동을 시행해야 한다.

동시에 공회전 제한장치 보급도 좋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당시 일부만 시행하면서 배터리와 기동전동기 수명에 영향을 준다고 해 시행을 멈춘 운동이다. 당시보다 지금은 훨씬 기슬적으로 개선된 만큼 가성비 측면에서 매우 좋은 효과가 기대된다. 이미 유럽산 모든 수입차에 제작차원에서 공회전 제한장치인 ISG가 장착돼 운영될 만큼 효과는 매우 크다. 최근 수원시 등 여러 지자체와 한국에코드라이브협회가 나서서 공회전 제한장치를 어린이 학원차량에 장착하는 시범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특히 이 장치는 차량이 정지하면 어린이가 모두 내리고 출입문을 닫아야 시동을 걸리게 만들어 어린이 교통안전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보급하고 활성화시켜 연비 개선, 환경개선과 더불어 어린이 교통안전이라는 목표도 달성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에 큰 영향을 주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인 EGR의 교체와 흡기부분의 카본 청소도 함께 진행한다면 더욱 큰 효과가 기대된다. 비용도 DPF와 같이 차량 당 수백만 원이 아닌 수십만 원만 지원해도 기존 대비 20% 미만으로 질소산화물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약 2400만대의 내연기관차에 대한 국민적 노력이 가미되지 못한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미래의 환경개선 목표는 요원하다. 탁상행정이 아닌 실질적인 정책 시행이 요구된다. 내연기관차의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대림대 교수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