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신문=이종선 기자]경기도 김포시의 서울특별시 편입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 김포를 넘어 구리, 하남, 광명, 고양까지 서울로 편입시키는 메가시티 조성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이슈를 주도하는 곳이 정치권이다 보니, 김포 서울 편입이란 사안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합리적 의견 수렴이 진행되기 보다 여야 지지자간 대립만 격화되는 모양새를 보여주고 있다.

사실 김포와 관련 없는 사람들에 이번 이슈는 갑작스런 논란으로 비춰질 수 있겠지만,  김포의 서울 편입 문제는 오래 전부터 지역 내에서 언급된 언젠가는 불거질 문제였다. 

김포의 서울 편입 이슈는 경기도 분도(分道) 검토에서 시작됐다. 경기도 인구는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꾸준히 증가, 이제는 서울마저 뛰어넘었음에도 도의 행정력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특히 도청이 자리한 남부지역에 비해 경기도 북부지역의 발전이 더디다 보니 북부권 중심으로 분도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이에 제기된 방안이 경기북도 내지 경부북부특별자치도 설치안인데 여기서부터 김포의 편입 논란이 시작됐다. 분도시 기준점이 된 것은 한강 수계로 한강 이북이 경기북도로 편입될 것으로 큰 그림이 정해졌는데, 김포의 경우 한강 이남에 있음에도 인천시와 서울 강서구에 가로막혀 경기남도에 들어가지 못하고 경기북도 합류가 유력한 상황이었다. 

김포시 주민들은 이 같은 분도 결정이 실제로 이뤄질 경우 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경기남도 잔류를 희망해 왔고 그 의사를 여러 통로를 통해 정치권에 전달했다. 그럼에도 지역 정치권에서는 김포의 경기북도 편입을 위한 법안을 마련했고 이에 김포 시민들 사이에서 '차라리 서울 편입을 추진하자'는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결국 김포의 서울 편입 논란은 지역민들의 의견이 지역 정치권에서 외면 받는 상황 속에서 나온 고육지책이었다. 서울 편입에 따른 이익만을 쫓아 나온 성급한 결정이 아니라는 말이다. 

만일 지역 정치권에서 경기북도 설치 및 경계 확정를 위한 논의에 있어 지역민들의 의견을 좀 더 수렴하고 지역민 설득을 위한 설명회 및 주민투표 등을 성실히 진행했다면 이번 같은 논란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정치학에선 특정한 논쟁이 발생했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을 이탈(Exit), 항의(Voice), 충성(Loyalty)으로 나뉜다. 만약 특정 사안에 찬성하거나 반대할 힘이 없다면 충성할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항의하거나 최악의 경우 이탈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치권은 김포의 경기북도 편입을 위한 과정에서 주민들과 소통 부재를 보여줬다. 정치적 결정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고 지역민 의견을 무시함으로써 김포 시민들이 지역에서의 충성을 포기하고 항의를 넘어 서울로의 이탈을 선택하게 만든 것이다.  

김포의 서울 편입이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적 선전 도구에 그칠 수도 있고 또는 메가시티 설치의 시작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그 출발점이 지역 주민과 정치권의 소통 부재였다는 게 마음에 걸린다.  정치권에서 김포 시민들이 서울로 이탈을 결정하기 전 항의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합의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했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향후로는 어떤 정치적 결정이 이뤄지든 좀 더 신중하고 당사자들을 배려한 접근이 있어야 할 것이라 본다. 지역민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이를 중앙 정치권에 전달하는 게 지역구 국회의원의 사명일 것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