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호 서울메트로 미래사업처장. <사진제공=뉴시스>

현재 개발도상국들은 서울이 1970년대에 겪었던 도시화의 문제를 그대로 안고 있다. 특히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교통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상태로, 신규 도시철도의 건설 및 기존 노선의 개량 또는 확장을 추진중인 국가들도 많다.

‘철도’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경우에도 글로벌 환경은 매우 우호적이다. 독일의 철도통계 관련 전문회사인 SCI/Verkehr(2009)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세계철도시장은 2014년 기준 200조원 규모에 달하며 연 평균 4.2%씩 성장할 것이라 전망된다.

홍콩 지하철 운영사인 MTR은 전체 수익의 28.1%를 세계철도 운영사업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 이는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우리나라 도시철도 운영기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시작단계이지만 그동안 꾸준히 세계 진출을 시도하며 성과를 보인 서울메트로의 사례 역시 다른 국내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세계 철도사업 진출에 참고가 될 수 있다.

서울메트로는 40여년의 긴 시간동안 400억원에 달하는 승객을 큰 사고 없이 수송해 왔는데 이는 세계 어디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같은 기간 서울메트로는 역사 개보수, 궤도개량, 신호개량, 역무자동화 등 기존시설에 대한 개량 작업도 진행해 왔다. 도시철도의 유지보수에도 상당한 기술과 경험이 축적되었음을 의미한다.

누적된 노하우와 더불어 대외인지도의 증대 또한 서울메트로가 세계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지난 2013년 1월 CNN은 세계 9대 명품 지하철로 런던, 파리, 홍콩과 더불어 서울지하철을 꼽은 바 있다.

또 민간설계사·시공사들이 해외시장으로 역량을 집중하며 이들이 가지지 못한 철도운영 및 유지보수 실적과 경험 때문에 사업파트너로서 서울메트로의 사업 참여기회가 확대돼 왔다.

그 결과 서울메트로는 지난 2009년 라오스 철도건설 타당성 조사로 해외사업에 첫 발을 내딛었고, 2013년에는 베트남 호치민 1호선 궤도설계사업, 방글라데시 철도신호 현대화 사업을 수주하게 됐다.

위와 같이 서울메트로는 해외철도사업 경험을 차곡차곡 쌓고 있는 중이지만 세계 철도 전문 글로벌 강자들에 비하면 아직 갈 길이 멀다.

그래서 중요한 것이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한 단계적인 시장진출 전략과 역량강화전략을 수립하는 것인데 이는 타 도시철도운영기관 역시 마찬가지이다.

먼저 단계적 시장침투 전략의 첫 단계로 풍부한 노하우를 갖고 있는 설비 개량 시장에 진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지속가능한 세계 철도시장인 공적원조 사업의 진출을 목표로 해야 한다. 나아가 해외사업 활성화를 위한 인재육성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