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AP통신>

[월요신문 허창수 기자] 아시아 지역에서 ‘전자 쓰레기’가 급증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경각심을 주고 있다.

지난 15일 유엔대학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아시아 지역 12개국의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총 1230만t으로 5년 전인 2010년에 비해 6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 쓰레기 발생량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이다. 2015년 중국의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670만t으로 5년 전(300만t)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중국 다음으로 전자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나라는 일본(223만t)이었으며 그 뒤를 한국(83만t), 인도네시아(81만t), 베트남(45만t), 대만(45만t) 등이 이었다.

인구 1명당 기준으로는 홍콩이 21.7㎏으로 가장 많았고, 싱가포르와 대만이 19㎏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의 1인당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약 1㎏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보고서는 “과거에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이 선진국에서 폐기된 전자제품 투기장이었지만 최근에는 아시아가 전자 쓰레기 발생지역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면서 “이는 아시아 국가의 경제 발전으로 부유한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휴대전화와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와 냉장고, TV 등 백색 가전 소비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 지역에서 전자 쓰레기 발생량은 급증하고 있지만 전자 쓰레기 폐기에 관한 규제가 존재하는 국가는 많지 않다. 한국과 대만, 일본 정도가 1990년대 제정된 관련법을 근거로 전자제품 재생 관련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정도다.

이에 보고서는 “아시아의 소비자들은 전자기기를 자주 교체하고 있고, 저가에 생산되는 많은 제품들이 수리나 리퍼브(재단장), 재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면서 “각국 정부는 전자 쓰레기를 관리하기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거나 관련 규제를 적극적으로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일부 국가에서는 수은과 납이 포함된 전자부품의 무단 투기, 구리 등을 추출하기 위한 전자제품 소각, 귀금속 추출 분리 등이 만연하고 있다”면서 “전자제품의 무단 소각과 재생은 관련 종사자는 물론 인근 지역 주민에게 불임, 발달장애, 폐 기능 장애, 간과 신장 손상, 유전적 장애, 정신 건강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루디거 케르는 이날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실제 전자 쓰레기 통계는 각국 정부가 발표하는 것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며 “이 보고서가 정책 입안자와 소비자에게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월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